Texte original : 조선말 큰사전

말은 사람들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 조선 말은, 우리 겨레가 반 만 년 역사적 생활에서 문화 활동의 말미암던 길이요, 연장이요, 또 그 결과이다. 그 낱낱의 말은, 다 우리의 무수한 조상들이 잇고 이어 보태고 다듬어서 우리에게 물려 준 거룩한 보배이다. 그러므로, 우리말은 우리 겨레가 가진 정신적 및 물질적 재산의 총 목록이라 할 수 있으니,  우리는 이 말을 떠나서는, 하루 한 때라도 살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 말은 조선 사람에게 너무 가깝고 친한 것이기 때문에, 도리어, 조선 사람에게서 가장 멀어지고 설어지게 되었다. 우리들이 항상 힘써서 배우고 닦고 한 것은 다만 남의 말, 남의 글이요, 제 말과 제 글은 아주 무시하고 천대해 왔다. 날마다 뒤적거리는 것은 다만 한문의 자전과 운서뿐이요, 제 나라 말의 사전은 아예 필요조차 느끼지 아니하였다. 프랑스 사람이 와서는 프랑스 말로써 조선어 사전을 만들고, 미국, 영국 사람이 와서는 각각 영어로써 조선어 사전을 만들고, 일본 사람이 와서는 일본 말로써 조선어 사전을 만들었으나, 이것은 다 자기네의 필요를 위하여 만든 것이요, 우리의 소용으로 된 것이 아니었다.


제 말의 사전을 가지지 못한 것은 문화 민족의 커다란 수치일 뿐 아니라, 민족 자체의 문 화 향상을 꾀할 수 없음을 절실히 깨달아, 이 수치를 씻고자, 우리 문화 향상의 밑천을 장만하고자, 우리가 우리 손으로, 조선 말 사전의 편찬 사업을 처음으로 계획한 것은 융희4 (서기 1910) 년부터의 일이었으니, 당시 조선 광문회에서 이 일을 착수하여, 수년 동안 재료 작성에 힘을 기울였던 것이다. 그러나, 사정으로 인하여 아깝게도 열매를 맺지 못하였고, 십여 년 뒤에 계명 구락부에서 다시 시작하였으나, 이 또한 중도에 그치고 말았었다.

 
이 민족적 사업을 이루지 않고서는 아니 될 것을 깊이 각오한 우리 사회는, 이에 새로운 결의로써 기원 4261 (서기 1928)년 한글날에 조선어 사전 편찬회를 창립하였다. 처음에는 조선어 학회와 조선어 사전 편찬회가 두 날개가 되어, 하나는 맞춤법, 표준말 들의 기초 공사를 맡고, 하나는 낱말을 모아 그 뜻을 밝히는 일을 힘써 오다가, 그 뒤에는 형편에 따라 조선어 학회가 사전 편찬회의 사업을 넘겨 맡게 되었으니, 이는 조선어 학회가 특별한 재력과 계획이 있어서가 아니라, 다만 까무러져가는 사전 편찬회의 최후를 거저 앉아 볼 수 없는 안타까운 심정과 뜨거운 정성이 있기 때문이었다.

  
포학한 왜정의 억압과 곤궁한 경제의 쪼들림 가운데서, 오직 구원한 민족적 정신을 가슴 속에 깊이 간직하고, 원대한 문화적 의욕에 부추긴 바 되어, 한 자루의 모지라진 붓으로 천만가지 곤난과 싸워 온 지 열 다섯 해만에 만족하지 못한 원고를 인쇄에 붙이었더니, 애닯도다, 험한 길은 갈쑤록 태산이라, 기어이 우리 말과 글을 뿌리째 뽑아 버리려는 포학 무도한 왜정은, 그 해, 곧 기원 4275년의 시월에, 편찬회와 어학회에 관계된 사람 삼십여 명을 검거하매, 사전 원고도 사람과 함께 흥원과 함흥으로 굴러 다니며 감옥살이를 겪은 지 꼭 세 돐 이나 되었었다.


그 간에 동지 두 분은 원통히도 옥중의 고혼으로 사라지고, 마지막의 공판을 받은 사람은 열 두 사람이요, 끝까지 옥에서 벗어나지 못한 다섯 사람은 그 실날 같은 목숨이 바람 앞의 등불 같이 바드러워, 오늘 꺼질까, 내일 사라질까, 하던 차에 반갑다, 조국 해방을 외치는 자유의 종소리가 굳게 닫힌 옥문을 깨뜨리어, 까물거리던 쇠잔한 목숨과 함께, 흩어졌던 원고가 도로 살아남을 얻었으니, 이 어찌 한갖 조선어 학회 동지들만의 기쁨이랴?


 서울에 돌아오자, 곧 감옥에서 헤어졌던 동지들이 다시 모여, 한 편으로는 강습회를 차려 한글을 가르치며, 한 편으로는 꺾이었던 붓자루를 다시 가다듬어 잡고, 흐트러진 원고를 그러모아, 깁고 보태어 가면서 다듬질하기 두 해만에, 이제 겨우 그 첫 권을 박아, 오백 한 돌인 한글날을 잡아, 천하에 펴 내게 된 것이다. 그 내용에 있어서는 다시 기움질을 받아야 할 곳이 많으매, 그 질적 완성은 먼 뒷날을 기다릴 밖에 없지마는, 우선 이만한 것으로, 하나는 써 조국 광복, 문화 부흥에 분주한 우리 사회의 기대에 대답하며, 또 하나는 써 문화 민족의 체면을 세우는 첫 걸음을 삼고자 한다.


돌아보건대, 스무 해 전에, 사전 편찬을 시작한 것은 조상의 끼친 문화재를 모아 보존하여, 저 일본의 포학한 동화 정책에 소멸됨을 면하게 하여, 써 자손 만대에 전하고자 하던 일에 악운이 갈쑤록 짓궂어, 그 소극적 기도조차 위태한 지경에 빠지기 몇 번이었던가? 이제 그 아홉 죽음에서, 한 삶을 얻고 보니, 때는 엄동 설한이 지나간 봄철이요, 침침 칠야가 밝아진 아침이라, 광명이 사방에 가득하고, 생명이 천지에 약동한다. 인제는 이 책이 다만 앞사람의 유산을 찾는 도움이 됨에 그치지 아니하고, 나아가서는 민족 문화를 창조하는 활동의 이로운 연장이 되며, 또 그 창조된 문화재를 거두어 들여, 앞으로 자꾸 충실해 가는 보배로운 곳집이 되기를 바라 말지 아니한다.

 
끝으로, 이 사업 진행의 자세한 경과는 따로 밝히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다만 이 사업을 찬조하며 후원하여 주신 여러 분에게 삼가 감사의 인사를 드리는 바이다.


 

Academy of Korean studies Inalco Université Paris Diderot-Paris 7 EH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