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elier de traduction : 1-1. 내재적 발전론과 한국사인식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Texte original:

"내재적 발전론"이란 무엇인가. 내재적 발전론을 문자 그대로 읽는다면, 사회발전의 계기가 사회 내부에 있다는 주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다른 한편 사회 외부의 영향은 없는 것인가, 국가나 민족의 차원에서 말한다면 다른 국가나 민족과의 무력대결이나 문화교류로부 터 사회발전의 계기를 얻을 수는 없는 것인가 하는 의문을 낳기도 한다. 또 더 근본적으로 역사가 발전하는 것인지 의문을 가져볼 수도 있다. 물론 이 글은 이런 의문들에 대한 철학적인 해답을 구하지는 않는다. 

 

1960년대 이래 내재적 발전론이 한국 역사를 해석하는 하나의 시각으로 정립된 과정을 이해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국 역사연구방법에서, 한국 사학사 전개 과정에서, 그리고 세계사의 발전과 동아시아사회의 전개 과정에서 내재적 발전론이 차지하는 의미를 포착해보고자 한다.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역사인식은 맑스주의의 유물사관에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다. 사회 내부의 생산력 발전을 계기로 생산관계의 변화가 초래되고, 그것이 사회계급의 분화로 나타나 새로운 사회계급이 계급투쟁을 통해 새로운 사회체제를 구축함으로써 한 사회가 다음 사회로 이행해간다고 보는 맑스의 역사발전원리는 사회 내부에서 발전의 계기를 찾는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내재적 발전론이다.

 

유물사관은 역사 전체의 합법칙적 발전원리를 체계화하지만 분석의 주대상은 근대 자본주의사회로의 이행과 자본주의사회의 모순이고, 자본주의사회의 모순을 극복함으로써 사회주의사회로의 혁명적 이행을 전망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맑스주의의 유물사관이 보여주는 내재적 발전론이 역사발전의 합법칙적 전개, 근대사회로의 이행 법칙, 그리고 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전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은 유럽사회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는 점을 또한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맑스는 아시아사회의 생산양식과 그 전개에 대해서는 유럽사회와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아시아는 유럽과 다른 아시아적 생산양식을 지닌 독특한 사회로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생산력이 정체된 독특한 아시아적 공동체사회가 이어졌다고 보았다. 그는 아시아사회에 대해서는 내재 적 발전론이 아니라 오히려 정체론에 입각해서 이해했다.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은 아시아사회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근대국가 수립 과정에서 제국주의로 발돋움한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 은 수천 년의 정체된 체제를 유지하여 자주적 근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식민지의 길을 통해 근대화해야 한다는 것이 당시 제국주의 국가들의 아시아인 식이었다 한국에서는 그런 논리가 더욱 기승을 부렸다. 후진 일본이 제국주의국 가로서 한국을 병합하여 식민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한국의 후진성과 정체성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한국의 후진성과 정체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역사인식이 바로 식민주의사관이다. 

 

식민주의사관은 허구에 기초한 허황된 논리도 포함하지만 저명한 역사학자에 의한 구체적 역사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하기도 하여 한마디로 요약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복잡하고 때로 상반되기도 하는 여러 주장들을 끌어모아 정의해본다면, 식민주의사관은 대체로 한국사를 타율성과 정체성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로 규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타율성이란 한국인이 한국 역사의 주인공, 역사발전의 주체로 등장하지 못하고, 역사의 전개도 인접한 외세의 영향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역사인식을 말한다. 일본과 한국의 조상이 동일하다는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지정학적으로 반도에 위치하여 대륙과 해양의 지배를 피하지 못한다는 반도적 성격론, 고대 한반도 남부에 일본의 식민통치기관이 있었다는 임나일본부설 任 那日本府說, 한국사를 만주 역사에 포함시켜서 보려는 만선사관滿鮮史觀 등, 한국사의 열등함을 강조하는 여러 내용들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정체성이란 한국 역사가 주체적으로 발전을 추진할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사회 내부적으로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는 등 발전의 길을 찾지 못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천 년 동안 정체된 상태에 놓여 있었다는 역사인식을 말한다. 사회적 계급이 분화되지 못하고, 도시와 상공업이 발달하지 못하고, 사유재산제 가 성립되지 못한 정체된 사회, 봉건제 이전의 씨족적 사회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고 한다 또 조선시대에 대해서도 년 동안 기술의 발전이나 자본의 축적이 전혀 없이 동일한 생활이 반복되는 정체된 사회였다고 한다.

 

식민주의사관의 타율론, 정체론은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로 만들면서 식민지가 될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배경을 강조하고, 식민지를 통해 비로소 근대적 발전의 길을 찾을 수 있었다고 강요하는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지닌다. 이런 식민주의사관은 내재적 발전론과 정반대되는 역사인식이다.

식민주의사관에서 주장하는 타율론이나 정체론은 한국사를 조금만 들여다봐 도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인 역사학자들은 일본인 역사학자 와 논객들이 만들어낸 식민주의사관에 동의하지 않았다. 한국 민족은 수천 년 동안 독자적 문화를 창조해낸 우수한 민족이라 주장하고, 그 자취를 들추어내 대중에게 알리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독자적인 문화를 창조한 우수한 민족으로 서 스스로의 역량을 동원하여 역사를 발전시켜왔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런 주장은 독립운동의 이념적 기반이 되기도 하고, 그 자체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생각되기도 했다. 신채호, 정인보 등 우리가 민족주의 역사학자로 부르는 인물들이 이런 주장에 앞장섰다. 이들의 주장은 주로 식민주의사관의 타율론을 비판하는 데 집중되었다. 다만 타율론을 비판하고 식민지로부터 해방된 독립국 가를 추구하지만, 그것이 어떤 사회여야 하는지에 대한 전망은 불투명했다.

 

식민주의사관의 정체론 비판은 1930년대 맑스주의 역사학자 백남운에 의해 제기되었다. 맑스주의 유물사관이 기본적으로 내재적 발전론이면서 아시아사 회를 정체된 사회로 규정한 것은 앞에서 본 바와 같지만, 백남운은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을 한국사에 적용함으로써 맑스의 아시아사회정체론을 비판했는 데 그것은 곧 식민주의사관의 정체론에 타격을 가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는 조선 경제사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파악했다.

 

조선 경제사는 조선 민족의 사회적 존재를 규정하는 각 시대에 있어서 경제조직의 내면적 관련, 내재적 모순의 발전 및 거기서 일어나는 생산관계의 계기적 교대의 법칙성과 불가피성을 과학적으로 논증하는 것이다.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개조사, 1933, 10-11쪽)

 

여기에는 맑스주의 유물사관을 내용으로 하는 백남운의 내재적 발전론의 요점이 담겨 있다. 그런데 백남운은 고대 노예제사회와 중세 아시아적 봉건사회 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지만, 근대사회로의 이행이나 식민지사회와 그 이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를 제시하지 못했다.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의 발생가 능성, 식민지 이식자본주의의 발달을 언급하는 정도였으며, 맑스가 분석의 주대상으로 삼은 근대 이후의 사회변화 연구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상에서 식민주의사관에 대한 비판은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하거나 경제발전의 내재적 법칙성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민족주의 사학이 타율론을 비판하여 민족문화의 역량과 우수성을 강조한 것을 내재적 발전론이라고 명백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맑스주의 사학이 정체론 을 비판한 것은 내재적 발전론의 개념에 근접하는 것이었다. 

남북이 분단된 뒤 내재적 발전론을 둘러싼 논의는 남,북한 학계와 일본 학계로 분화되어 전개되었다. 북한 학계는 초기에는 유물사관을 수용하여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연구와 논의를 진행했다. 백남운의 연구에 기반한 삼국시대 사회구성 논쟁이나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 연구가 그것이다. 

 

삼국시대 사회구성 논쟁은 백남운이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하여 삼국시대를 그리스, 로마시대의 고대 노예제사회에 비정한 것에 대한 논쟁이다. 백남운의 견해는 맑스의 아시아사회 정체론에 기반한 아시아적 생산양식론의 입장에서 해석한 견해와 충돌을 빚었고, 기타 여러 가지 절충적 견해와 구체적 연구들이 진전됨에 따라 논쟁은 복잡하게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노예제사회 는 삼국시대 이전에 형성되지만 그리스, 로마시대의 노예제와는 다른 아시아적 성격이 가미된 것이고, 삼국시대 이후에는 봉건제사회가 형성된 것으로 절충, 정리되었다. 역사발전의 지역적 특수현상이 더 적극적으로 해석되면서도 내재 적 역사발전의 의미도 분명하게 부각되었다.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론은 중국 자본주의 맹아론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일찍이 백남운이 자본주의 맹아의 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한 점도 중시되어 야 할 것이다. 조선 후기에 자본주의 맹아가 발생하고 자본주의적 생산관계가 발전했다는 주장은 1950-60년대 북한 학계의 중요한 학문적 성과로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재적 발전론의 시각에서 얻은 중요한 성과였다. 

 

봉건제사회 이후 사회주의사회가 바로 등장하는 것은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의 원리에서는 전혀 있을 수 없는 사태이기 때문에, 북한 사회주의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자본주의사회의 설정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조선 후기사회에 자본주의 맹아가 발생했지만 일제의 식민지가 됨으로써 이식자본주의사회가 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 백남운의 관점이 수용된 결과라고 여겨진다. 

 

개화파의 갑신정변이나 갑오개혁이 내재적 발전과 일견 모순될 수 있는외세의 힘에 의지하여, 즉 일본의 무력과 자금 개혁모델에 의지하여, 진행되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도, 이를 근대 자본주의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르주아적 정치변혁으로 적극 평가한 것도 이와 관련된 해석이다.

 

1970년대 이후 주체사관 수립에 의해 유물사관의 역사평가기준이 사회구성 체론에서 계급투쟁론으로 더욱 기울어 내재적 발전의 동력을 계급투쟁에서 찾고, 특히 근현대사에서는 그 중점을 외세와의 투쟁에서 찾고 있음에도, 북한 학계의 역사상이 내재적 발전론의 방향에서 구축되어 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북한은 사회주의사회 건설 과정에 있었기에 내재적 발전론 수용의 의미는 과거 역사와 현대사의 합법칙적 발전의 연결고리를 확인하는 데 있었다. 특히 근현대사에서는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에서 시작하여 근대 부르주아 민족운 동이 전개되는 단계를 거쳐 항일무장투쟁을 통해 쟁취한 사회주의사회의 건설을 내재적 발전의 논리 위에서 인식하고 있다. 

남한 학계에서는 1960-70년대에 식민주의사관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내재적 발전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식민주의사관을 비판하는 입장은 주로 타율론을 비판하는 계열과 정체론을 비판하는 계열로 구분해서 볼 수 있는데, 전자는 일제강점기 민족주의 사학의 관점을 계승하여 민족문화의 역량과 고유성, 우수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고, 후자는 사회경제적 발전을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포착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양자의 성과를 종합하면 선사시대에서 구석기, 신석기시대의 설정, 고대사에서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비판, 고려사회 성격 논쟁, 당파성론 비판과 새로운 정치사의 발전방향 제시, 실학의 발생과 성장, 사회신분제의 변동과 붕괴, 자본주의 맹아의 발생 근대 부르주아 민족운동 의 전개, 시대구분론의 제기 등을 들 수 있다.f

 

그 가운데 타율론 비판은 주체역량에 의한 한국사의 내적 전개와 그 체계화, 정체론 비판은 한국사에서의 보편적 역사발전원리의 관철을 주요목표로 한 것이었다. 식민주의사관의 타율론, 정체론 비판을 주체성, 발전성의 측면에서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 타율론 비판은 내적 역량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수행되었 기 때문에 내재적 발전론의 한 측면을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도 있지만, 전반적으 로는 정체론 비판의 결과가 내재적 발전론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선 후기 사회신분제의 변동과 붕괴, 자본주의 맹아의 발생, 근대 부르주아 민족운동의 전개 등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조선 후기사회를 대상으로 한 이런 내재적 발전론은 좁은 시각에서 본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것처럼 내재적 발전론 개념의 외연이 확대되면서 민족문화의 주체역량을 강조하는 연구까지 포괄하게 되어, 때로는 식민주의사 관의 대안으로서 내재적 발전론을 거론하게 되기도 했는데 이것은 넓은 시각에 서 본 내재적 발전론이라고 할 것이다.

 

물론 이런 연구경향이 당시 내재적 발전론으로 명명되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이렇게 식민주의사관을 비판하는 방향이 내재적 발전의 방향이었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일본 학계의 연구방향과 관련하여 년대 이후 내재적 발전론으로 명명되었다. 

 

그런데 남한 학계에서는 내재적 발전론의 흐름에 다기한 분화양상이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식민주의사관 비판은 공통점이었지만, 당시 사회에 대한 인식, 남한사회의 발전방향에 대해서는 관점을 달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분화양상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정체론을 비판하여 식민주의사관을 극복하고, 나아가 미래의 역사상까 지 전망하고자 하는 내재적 발전론의 기본방향에 대한 것이다. 정체론에 대한 비판은 1950년대 미국 원조 경제체제하에서 경제수준이 낮았던 시기에는 엄두도 낼 수 없었다. 그러다가 1960년대 민족적 주체적 분위기 속에서 정체론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이 개시되었다. 주로 조선 후기 사회경제의 변화와 변동 속에서 발전양상을 찾아가는 연구에서 출발하여 그것을 근대를 향한, 근대를 준비하는 요소, 현상, 세력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자본주의 맹아 론을 들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국이나 북한에서도 연구와 토론을 진행한 결과 맑스의 아시아사회 정체론을 교정하는 단계에까지 도달한 바가 있었다. 남한은 중국, 북한과 학술교류를 단절한 상태이기는 했지만, 기본적으 로 그런 방향과 보조를 같이했다.

 

그러나  1960-70년대 엄혹한 냉전체제하에서 내재적 발전론은 조선 후기에 국한될 수밖에 없었고, 기껏해야 세기 말까지 이를 뿐이었다. 이런 역사인식이 전망하는 미래상을 명확하게 상정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근대화, 자본주의화의 전망에 그칠 수밖에 없었고, 그 이후 식민지 극복의 방향이나 새로운 국가건설의 방향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미칠 수는 없었다. 이 점이 당시 내재적 발전론이 지닌 한계였고, 여기서 내재적 발전론이 근대주의로 경도될 위험성을 발견하게 된다.

 

1970-80년대에 제기되는 분단시대 사학론이나 민중사학론은 그런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변혁의 당위성에 기반한 역사인식이었다. 그것은 내재적 발전론 이 지향하는 미래의 역사상이 구체성을 갖기 어려운 현실적 조건 아래서 그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다. 따라서 사학사의 흐름에서 볼 때 1990년대 이후 이들 역사인식이 종합되어 내재적 발전의 미래상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해볼 수도 있었지만, 그런 미래상이 정립되기도 전에 년 동구 사회주의권의 붕괴로 인해 사회주의적 전망을 포함한 변혁적 전망에 대한 논의는 침체의 늪에 빠지고 말았다.

 

다음으로 살펴볼 것은 내재적 발전론이 근대주의적 경향을 보이게 된 문제이다. 냉전체제 아래서 미국은 신생국의 사회주의화를 막기 위하여 근대화론을 내세웠다. 이를 이론적 기반으로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개년계획이 추진되었고, 여기 부응하는 역사인식이 내재적 발전론을 근대주의적으로 인식하게 했다. 근대화는 원래 서구 중세사회가 해체되고 근대사회가 수립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여러 사회적 변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질적으로 자주적, 내재적 과정이었다. 그런데 그 근대화가 후진국에 와서는 경제발전단계론이 되고, 식민지에서는 파시즘 = 근대화론이 되고, 냉전체제하에서는 종속적 근대화론이 되고 말았다. 근대화론이 근대를 찬미하고 전통을 배제하는 입장에 서면서도 내재적 발전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본질적으로 서구의 내재적 근대화를 모형으로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식민지를 근대화의 길로 인식하고 종속적 상황에서 고도성장을 꾀하는 역사인식은 오히려 내재적 발전과는 거리가 멀었다. 외부 힘에 의한 발전을 근대화의 길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근대화론이 내재적 발전론보다 오히려 정체론과 만나는 지점이 있다.

 

근대화론의 경향은 오늘날 신자유주의체제로 연결되어 있고, 최근 내재적 발전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가는 역사인식은 이런 상황에서 보면 일면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기도 하다. 근대화론이 내재적 발전을 긍정했던 것은 다만 근대화, 자본주의화를 역사발전의 귀결점으로 보는 관점에서였으며 그런 측면에서 조선 후기의 근대적 요소나 자본주의적 요소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뿐이다. 내재적 발전론의 측면에서라기보다 사회주의체제와의 체제경쟁에서 비롯된 역사관인 것이다.

 

근대화는 식민지와 자유주의, 신자유주의체제에 의해 달성되었고, 그 이후의 발전도 그런 흐름 위에 놓여 있다고 파악되고 있다. 오늘날의 근대화론, 즉 근대주의 역사인식은 전통과 근대를 구분지어 전통사회의 내재적 발전을 부정하고, 일제강점기 이후에야 근대화, 자본주의화와 그 발전이 가능했다고 봄으로써 내재적 발전론의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 식민지를 가졌던 선진국의 최근 학문적 경향은 기본적으로 이런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남한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은 이와 같이 두 가지 흐름을 내포하고 있었다. 근대 이후의 변혁적 전망에 이르지 못하고 근대에서 멈추어버린 내재적 발전론 과 근대적 환상에 빠져 결국 전통과 단절됨으로써 내재적 발전론의 의미를 상실한 것, 이 두 가지이다.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평가도 이 두 가지 흐름을 구별하여 각각에 대해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그 논의가 혼동되고 있는 경향이 없지 않다. 

한편 일본 학계의 경우 제국주의시대에는 제국주의사관을 가진 계열과 맑스 주의 사학 계열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제국주의사관은 일본 황국사관의 논리와 맞닿아 있다. 따라서 이들의 시각에서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한국사상韓國史像을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반면 맑스주의 사학 계열은 맑스의 이중적 역사관,  즉 보편적 내재적 발전론으로서의 유럽사관과 정체론을 특징으로 하는 아시아사관에 의해 구별될 수 있는데, 한국 역사에 대해서는 아시아적 정체론에 입론을 두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제국주의시대 일본 학계의 한국사인식은 좌우를 막론하고 정체론적 시각에 입각해 있었다.

 

태평양전쟁에서 패배한 뒤 일본 학계는 제국주의시대에 대한 비판과 반성을 모색했던 좌파 계열과 여전히 제국주의적 시각을 버리지 않고 계승했던 계열로 구별될 수 있다. 한국 역사에 대해서도 그와 같은 인식의 분화가 나타났다. 제국주의적 시각을 지닌 계열은 여전히 제국주의사관 혹은 식민주의사관에 입각하여 한국사를 파악하고 있다. 

 

식민지체제의 후유증과 세계적 냉전의 첨예한 대립으로 인해 한국전쟁이 일어나고 한민족이 고통 속에 빠져 있을 때, 일본은 한국 역사의 타율론과 정체론의 특징을 더 분명하게 규정하고 정리했다 (四方博, "구래의 조선사회의 역사적 성격에 대하여", "조선학보" 1, 2, 3, 1951-52). 반면 제국주의의 침략행위에 대한 비판과 반성을 모색하는 계열에서는 한국사 또는 조선사를 그 민족의 주체적 입장에서 내재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시각을 제시했다. 그것이 바로 내재적 발전론의 입장이다.

 

기실 내재적 발전론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의 이런 연구경향을 1980년대에 들어와 개념규정한 것이었다. 물론 그 내용은 이미 논의해온 바와 같이, 일제강점 기부터 남북한 일본 학계에서 전개되어온 것이었다.

그런데 일본에서의 내재적 발전론 논의는 좌파 계열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들은 미국의 아시아지배와 미국주도로 이루어진 일본, 한국과의 안보조약 체결을 통한 사회주의권 봉쇄정책에 강력하게 반발했다. 이들의 내재적 발전론 은 역사학에서나 현실에서 사회주의적 전망을 갖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그 이론적 기원을 맑스주의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에서 찾으며,  그것을 한국역사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마땅히 사회주의사회로의 전환을 전망하는 것일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한국 역사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아시아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한 일본 좌파의 역사인식이었다. 따라서 중공, 북한, 북베트남혁명 과정과 민족해방투쟁의 전진을 선망하면서 미, 일 안전보장체제 아래 놓인 일본 사회체제를 역사발전의 후진성으로 이해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내재적 발전론은 역사발전의 최종적 귀결을 사회주의로 상정 하고 그 합법칙적 과정을 설명하는 방법이었고, 조선 후기사회의 신분제 붕괴론이나 자본주의 맹아론, 개항기의 부르주아 혁명운동론, 식민지 민족해방운동론, 해방공간의 변혁운동과 한국전쟁은 그 일관된 논리 아래서 파악되었다. 사회주 의 건설을 추진하는 북한의 존재는 남한 사회변혁의 추동력이 되었으며, 일본 사회주의혁명의 선구로 비쳐졌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남한을 비롯하여 대만, 홍콩, 싱가포르의 고도경제성장은 아무도 예상치 못한 경제적 성과였다. 더구나 이 네 지역이 공통적으로 일본의 식민통치를 경험했다는 점은 내재적 발전의 방향과 내용을 재검토하게 했다. 내재적 발전의 귀결이 사회주의라는 주장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결국 동구 사회주의권의 붕괴는 이를 증명한 것처럼 이해되었다.

 

그리하여 일본에서는 식민지적 근대화의 길이 새삼 재론되고, 종속적 자본주 의화의 가능성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쇄도했다. 따라서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비판도 강화되었다. 한편으로는 내재적 발전론의 사회주의적 전망이 한계에 봉착했으므로 내재적 발전론은 이제 폐기되어야 한다는 비판이 나왔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재적 발전론이 오히려 식민지적 종속적 자본주의화의 길을 긍정하는 근대주의적 논리로 기능하기 때문에 폐기되어야 한다는 비판도 있었다.

 

이렇게 상반된 비판이 제기된 것은 남한 학계에서 전개된 내재적 발전론의 두 가지 흐름을 일본 학계가 명확하게 읽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남한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은 곡해되면서 그 파기를 종용받았다. 사회주의권이 무너졌으니 사회주의적 전망을 가진 내재적 발전론을 포기하라고 하고, 식민지적 종속적 자본주의화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가진 내재적 발전론이 문제시되기도 했다. 어쨌든 일본 좌파의 붕괴로 일본 학계는 한국 역사의 내재적 발전론을 폐기하는 방향을 취하게 되었고, 그것은 어쩔 수 없이 식민지 근대화론을 긍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내재적 발전론은 역사발전을 긍정하고 발전의 계기를 내적 측면에서 추구함 으로써 일국사적一國史的 역사발전의 의미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미를 지닌다. 특히 제국주의침략에 의해 식민지가 된 나라의 역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한국 역사에서도 그 점은 마찬가지이다. 주체적이고 내재적인 관점에서 한국 역사의 전개 과정을 발전적으로 인식함으 로써 민족적 자부심을 키울 수 있고 미래에 대한 전망도 밝아질 수 있다.

 

내재적 발전론이 지니는 전망은 근대적 전망과 근대 이후에 대한 전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주의사관에 대한 비판이 과거 역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함으로써 민족해방을 전망하는 데 머물렀다. 해방 이후 북한은 자기 사회를 사회주의 건설 과정으로 파악함으로써 내재적 발전론 이 근대 자본주의사회의 설정과 그 성격규명에 치중하게 되었고, 따라서 내재적 발전론의 과제는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의 발생, 발전을 확인하는 것, 근대 부르주아 혁명운동의 존재와 양상을 파악하는 것, 민족해방운동의 혁명적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과거 역사와 현대사의 합법칙적 발전의 연결고리를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고 하겠다.

 

반면 남한 학계의 경우, 하나의 조류는 근대적 전망을 거쳐 근대 이후의 변혁적 전망을 포함했지만 냉전 및 독재체제하에서는 근대적 전망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다른 하나는 식민지적 종속적 근대화, 자본주의화의 길을 긍정함으로써 오히려 전통과의 단절을 초래하여 내재적 발전론의 의미를 상실하는 결과를 빚기도 했다. 더구나 사회주의권의 붕괴는 변혁적 전망에 대한 기대를 반감시켰고 다양한 방향으로의 사회발전을 모색하 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했다. 

 

일본 학계에서는, 여전히 제국주의사관에 입각하여 한국 역사를 파악하는 시각의 한편에서 사회주의적 전망을 가지고 한국 역사를 내재적 발전론의 입장에서 파악하려는 경향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발전과 사회주의권 붕괴에 영향을 받아 식민지적 종속적 근대화 자본주의화를 수용하는 경향이 우세해졌다. 

 

내재적 발전론은 역사발전의 내적 계기를 강조함으로써 외적 충격과 영향, 그리고 문화교류를 소홀하게 취급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과도한 자기환상에 빠질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런 자기 한계는 변혁적 전망의 좌절이라는 조건 아래서 외적 영향을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에 의해 여지없이 돌파되고 있다.

 

그러나 내재적 발전론이 왜곡된 식민주의사관을 비판한 점, 미래사회에 대한 변혁적 전망을 제시한 점, 역사발전에서 그 지역 주민의 주체성과 책임감을 강조한 점 등은 큰 성과로 이해된다. 내재적 발전론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그 긍정적인 면을 수용한다면 내재적 발전론은 여전히 연구방법상 중요한 의의를 지닐 것이다. 더구나 식민지를 경험한 한국에서, 아직도 그 식민지가 남긴 부정적 유산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Traduction(s)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et la conception de l’Histoire de Corée

Texte original

Traduction

"내재적 발전론"이란 무엇인가. 내재적 발전론을 문자 그대로 읽는다면, 사회발전의 계기가 사회 내부에 있다는 주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다른 한편 사회 외부의 영향은 없는 것인가, 국가나 민족의 차원에서 말한다면 다른 국가나 민족과의 무력대결이나 문화교류로부 터 사회발전의 계기를 얻을 수는 없는 것인가 하는 의문을 낳기도 한다. 또 더 근본적으로 역사가 발전하는 것인지 의문을 가져볼 수도 있다. 물론 이 글은 이런 의문들에 대한 철학적인 해답을 구하지는 않는다. 

Qu’est-ce qu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 Comprise à la lettre, l’expression semble affirmer que les conditions du progrès social (développement d’une société) existent à l’intérieur de la société. Cela peut sembler comme allant de soi, mais, d’un autre côté, cela fait naître des doutes : une société ne connaît-elle aucune influence extérieure ? Du point de vue de l’État et de la nation, le progrès social ne peut-il pas résulter de la confrontation armée et des échanges culturels avec d’autres États et nations ? Et, plus fondamentalement, une telle théorie pose la question de savoir si l’histoire s’oriente vers le progrès. À ces questions, nous ne répondrons pas ici par des propositions de type philosophique.

 

1960년대 이래 내재적 발전론이 한국 역사를 해석하는 하나의 시각으로 정립된 과정을 이해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국 역사연구방법에서, 한국 사학사 전개 과정에서, 그리고 세계사의 발전과 동아시아사회의 전개 과정에서 내재적 발전론이 차지하는 의미를 포착해보고자 한다. 

Notre objectif est ici d’essayer de comprendre le processus par lequel, depuis les années 1960, a été mis en place le point de vue qui interprète l’Histoire de Corée à partir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Nous nous proposons de saisir ce que signifie la place occupée par une telle théorie dans la méthodologie de la recherche sur l’Histoire de Corée, dans le processus de développement de l’histoire de la société coréenne ainsi que dans celui de l’histoire mondiale et des sociétés d’Asie Orientale.

 

 
 

Texte original

Traduction

맑스주의의 유물사관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역사인식은 맑스주의의 유물사관에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다. 사회 내부의 생산력 발전을 계기로 생산관계의 변화가 초래되고, 그것이 사회계급의 분화로 나타나 새로운 사회계급이 계급투쟁을 통해 새로운 사회체제를 구축함으로써 한 사회가 다음 사회로 이행해간다고 보는 맑스의 역사발전원리는 사회 내부에서 발전의 계기를 찾는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내재적 발전론이다.

Le matérialisme historique marxiste

 

C’est dans le matérialisme historique marxiste que la conception de l’histoire fondée sur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transparaît de la manière la plus évidente. Les principes du progrès historique de la conception marxiste de l’histoire humaine consiste à dire que les conditions de production internes aux sociétés conduisent à des changements dans les relations de production qui sont à l’origine de la division des sociétés en classes sociales et que l’émergence de nouvelles classes conduisent à des luttes de classes qui amènent à construire de nouveaux systèmes de société impliquant des transitions d’un type de société vers un autre, si bien qu’une telle théorie s’appuie fondamentalement sur l’idé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es sociétés.

 

유물사관은 역사 전체의 합법칙적 발전원리를 체계화하지만 분석의 주대상은 근대 자본주의사회로의 이행과 자본주의사회의 모순이고, 자본주의사회의 모순을 극복함으로써 사회주의사회로의 혁명적 이행을 전망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맑스주의의 유물사관이 보여주는 내재적 발전론이 역사발전의 합법칙적 전개, 근대사회로의 이행 법칙, 그리고 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전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Le matérialisme historique systématise les principes d’un développement historique assujeti à des lois s’appliquant à toutes les sociétés humaines, mais le principal objet de son analyse réside ultimement dans le fait de tendre vers la révolution en vue de la transition vers le socialisme en dépassant les contradictions du capitalisme des sociétés modernes. Ce qui retient ici notre attention est le fait qu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que révèle le matérialisme historique marxiste entretient des relations étroites avec l’idée d’un développement ordonné du progrès historique, de lois dans la transition vers la société moderne et de l’aspiration au socialisme.

 

그런데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은 유럽사회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는 점을 또한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맑스는 아시아사회의 생산양식과 그 전개에 대해서는 유럽사회와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아시아는 유럽과 다른 아시아적 생산양식을 지닌 독특한 사회로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생산력이 정체된 독특한 아시아적 공동체사회가 이어졌다고 보았다. 그는 아시아사회에 대해서는 내재 적 발전론이 아니라 오히려 정체론에 입각해서 이해했다.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은 아시아사회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Ceci étant dit, il ne faudrait pas oublier non plus le fait qu’une telle théorie du progrès social prenait pour objet les sociétés européennes. Marx était conscient que les formes de production des sociétés asiatiques ainsi que leur développement étaient différents de ceux des sociétés européennes. Il les considérait comme des sociétés particulières au sein desquelles la stagnation des forces de productions, depuis les périodes anciennes jusqu’à la période moderne, avait conduit à la formation de sociétés communautaires singulières. Il les comprenait finalement non pas à travers le prisme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mais plutôt à travers celui de la théorie du marasme social. Au fond, la théorie du progrès du matérialisme historique ne s’appliquait pas pour lui aux sociétés asiatiques.

 

 
 

Texte original

Traduction

식민주의사관

 

근대국가 수립 과정에서 제국주의로 발돋움한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들 은 수천 년의 정체된 체제를 유지하여 자주적 근대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식민지의 길을 통해 근대화해야 한다는 것이 당시 제국주의 국가들의 아시아인 식이었다 한국에서는 그런 논리가 더욱 기승을 부렸다. 후진 일본이 제국주의국 가로서 한국을 병합하여 식민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한국의 후진성과 정체성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한국의 후진성과 정체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역사인식이 바로 식민주의사관이다. 

L’histoire coloniale

 

À l’époque, les empires coloniaux concevaient l’Asie comme des États qui, à l’exception du Japon qui s’était hissé au niveau d’un empire dans son processus de modernisation, n’étaient pas capables de se moderniser de manière autonome en raison de la persistance d’un système stagnant depuis des millénaires, et qu’il fallait donc moderniser par la voie de la colonisation. En Corée, une telle logique connaissait un grand succès (auprès des intellectuels). Le Japon, lui-même tardivement développé en empire et ayant annexé la Corée, ne pouvait qu’instister davantage sur les retards et le marasme en matière de développement que connaissaient sa colonie. La conception de l’histoire prenant pour principaux objets le retard de développement et le marasme de la Corée relève donc de l’histoire coloniale. L’histoire coloniale n’est pas facile à résumer en formules simples car elle s’appuie à la fois sur une logique absurde fondée sur des fictions et à la fois sur des résultats concrets de recherche menée, dans le domaine historique, par historiens réputés. Si l’on tente de la définir en rassemblant les affirmations complexes et parfois contradictoires qui la constituent, on pourrait dire que dans l’ensemble celle-ci caractérise l’Histoire de Corée par sa dépendance (à des règles extérieures sur lesquelles elle n’a pas prise) et par son marasme intrinsèques.

 

식민주의사관은 허구에 기초한 허황된 논리도 포함하지만 저명한 역사학자에 의한 구체적 역사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하기도 하여 한마디로 요약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복잡하고 때로 상반되기도 하는 여러 주장들을 끌어모아 정의해본다면, 식민주의사관은 대체로 한국사를 타율성과 정체성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로 규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타율성이란 한국인이 한국 역사의 주인공, 역사발전의 주체로 등장하지 못하고, 역사의 전개도 인접한 외세의 영향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역사인식을 말한다. 일본과 한국의 조상이 동일하다는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지정학적으로 반도에 위치하여 대륙과 해양의 지배를 피하지 못한다는 반도적 성격론, 고대 한반도 남부에 일본의 식민통치기관이 있었다는 임나일본부설 任 那日本府說, 한국사를 만주 역사에 포함시켜서 보려는 만선사관滿鮮史觀 등, 한국사의 열등함을 강조하는 여러 내용들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Ce que nous appelons ici « dépendance » (ou hétéronomie, t’ayulsŏng 他律性) désigne une conception de l’histoire selon laquelle la Corée ne peut être acteur de son histoire, n’apparaît pas comme l’agent principal de son développement historique, mais dans laquelle son propre développement se réalise passivement par le jeu d’influences provenant de forces extérieurs avec lesquelles elle est en contact. Se retrouvent donc sous cette appellation une série de théories insistant sur l’infériorité de l’Histoire de Corée (par rapport celle du Japon) : la thèse de l’identité des ancêtres des peuples japonais et coréens, le Ilsŏn tongjoron (日鮮同祖論) ; la théorie de la péninsularité, pandojŏk sŏnggyŏngnon (半島的性格論), justifiant de manière déterministe que la péninsule, en raison de sa situation géopolitique, ne peut se soustraire à la domination du continent (la Chine) et de l’océan (le Japon) ; la thèse du bakufu d’Imna (Mimana), le Imna Ilbonbusŏl (任那日本府說), soutenant qu’au cours de la période ancienne, un bakufu japonais occupait la partie méridionale de la péninsule et gouvernait les habitants ; la conception de l’Histoire de Mandchourie, le Manjusagwan (滿洲史觀) cherchant à intégrer l’Histoire de Corée dans celle de la Mandchourie, etc.

 

정체성이란 한국 역사가 주체적으로 발전을 추진할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사회 내부적으로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는 등 발전의 길을 찾지 못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천 년 동안 정체된 상태에 놓여 있었다는 역사인식을 말한다. 사회적 계급이 분화되지 못하고, 도시와 상공업이 발달하지 못하고, 사유재산제 가 성립되지 못한 정체된 사회, 봉건제 이전의 씨족적 사회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고 한다 또 조선시대에 대해서도 년 동안 기술의 발전이나 자본의 축적이 전혀 없이 동일한 생활이 반복되는 정체된 사회였다고 한다.

 

식민주의사관의 타율론, 정체론은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로 만들면서 식민지가 될 수밖에 없었던 역사적 배경을 강조하고, 식민지를 통해 비로소 근대적 발전의 길을 찾을 수 있었다고 강요하는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지닌다. 이런 식민주의사관은 내재적 발전론과 정반대되는 역사인식이다.

Le « marasme (intrinsèque) » désigne quant à lui une conception de l’histoire selon laquelle la Corée se trouvait dans un état de stagnation pendant des millénaires en raison de son incapacité à se développer par elle-même et à créer les conditions de son progrès social en interne. Il prétend que dans la société coréenne la séparation des classes sociales ne s’opérant pas, villes et artisanat ne pouvaient se développer, ni le système de la propriété privée prendre place, si bien qu’y régnait toujours l’ordre d’une société clanique d’avant la féodalité. Il affirme en outre que pendant les cinq siècles d’existence du Chosŏn la société stagnait et que ses membres vivaient de façon répétitive et uniforme sans le moindre progrès technique ni accumulation de capital.

Les théories de la dépendance et du marasme de l’histoire coloniale revêtaient donc un caractère idéologique insistant sur le contexte historique comme condition rendant inévitable la main mise de l’empire nippon sur la Corée, ainsi que sur l’opportunité de la colonisation comme début d’une ouverture et voie nécessaire vers la modernité. Une telle conception de l’histoire était donc l’opposé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Texte original

Traduction

식민주의사관 비판

 

식민주의사관에서 주장하는 타율론이나 정체론은 한국사를 조금만 들여다봐 도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인 역사학자들은 일본인 역사학자 와 논객들이 만들어낸 식민주의사관에 동의하지 않았다. 한국 민족은 수천 년 동안 독자적 문화를 창조해낸 우수한 민족이라 주장하고, 그 자취를 들추어내 대중에게 알리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독자적인 문화를 창조한 우수한 민족으로 서 스스로의 역량을 동원하여 역사를 발전시켜왔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런 주장은 독립운동의 이념적 기반이 되기도 하고, 그 자체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생각되기도 했다. 신채호, 정인보 등 우리가 민족주의 역사학자로 부르는 인물들이 이런 주장에 앞장섰다. 이들의 주장은 주로 식민주의사관의 타율론을 비판하는 데 집중되었다. 다만 타율론을 비판하고 식민지로부터 해방된 독립국 가를 추구하지만, 그것이 어떤 사회여야 하는지에 대한 전망은 불투명했다.

 

La critique de l’histoire coloniale

 

Il suffit de porter un minimum d’attention à l’Histoire de Corée pour constater que les théories prônées par l’histoire coloniale ne tiennent pas. Pendant l’Occupation, les historiens coréens ne partageaient pas les vues de l’histoire coloniale construite par les historiens japonais et les discutteurs de théories. Ils affirmaient que la nation coréenne était une nation excellente qui avait créé une culture propre pendant des millénaires, et ils mettaient leurs efforts à en faire connaître au public les traces. Ils estimaient donc qu’un peuple excellent qui avait élaboré une culture propre avait développé son histoire en mobilisant ses capacités. Une telle affirmation avait constitué le fondement conceptuel du Mouvement d’Indépendance, pensé comme une étape du mouvement. Des personnalités telles que Sin Ch’aeho et Chŏng Inbo, appellées historiens nationalistes coréens, étaient aux avant-postes de cette revendication. Leurs revendications se concentraient principalement sur la critique de la thèse de la dépendance à autrui de l’histoire coloniale. Cependant, en critiquant la thèse de la dépendance et en poursuivant l’objectif d’aboutir à un État indépendant libéré de la colonisation, ils restaient flous quant à au type de société à laquelle ils aspiraient.

 

식민주의사관의 정체론 비판은 1930년대 맑스주의 역사학자 백남운에 의해 제기되었다. 맑스주의 유물사관이 기본적으로 내재적 발전론이면서 아시아사 회를 정체된 사회로 규정한 것은 앞에서 본 바와 같지만, 백남운은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을 한국사에 적용함으로써 맑스의 아시아사회정체론을 비판했는 데 그것은 곧 식민주의사관의 정체론에 타격을 가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는 조선 경제사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파악했다.

 

La critique de la théorie du marasme fut soulevée par Paek Nam’un, historien marxiste des années 1930. Ce dernier critiqua la théorie du marasme des sociétés asiatiques de Marx en appliquant à l’Histoire de Coré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u matérialisme historique, ce qui revenait à augmenter les coups portés à la théorie du marasme de l’histoire coloniale. Il comprenait en ces termes l’histoire économique du Chosŏn : 

 

조선 경제사는 조선 민족의 사회적 존재를 규정하는 각 시대에 있어서 경제조직의 내면적 관련, 내재적 모순의 발전 및 거기서 일어나는 생산관계의 계기적 교대의 법칙성과 불가피성을 과학적으로 논증하는 것이다.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개조사, 1933, 10-11쪽)

« L’histoire économique du Chosŏn discute scientifiquement des rapports internes d’organisation de l’économie à chaque période déterminant l’existence sociale de la nation coréenne, du développement des contradictions potentielles et de la nature réglée et inévitable de la transition conditionnée des relations de production qui en découlent (Paek Nam’un, Chosŏn sahoe kyŏngjesa, Kyejosa, 1993 : 10-11) »

 

여기에는 맑스주의 유물사관을 내용으로 하는 백남운의 내재적 발전론의 요점이 담겨 있다. 그런데 백남운은 고대 노예제사회와 중세 아시아적 봉건사회 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지만, 근대사회로의 이행이나 식민지사회와 그 이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를 제시하지 못했다.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의 발생가 능성, 식민지 이식자본주의의 발달을 언급하는 정도였으며, 맑스가 분석의 주대상으로 삼은 근대 이후의 사회변화 연구에는 미치지 못했다.

 

Ce passage contient un point essentiel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potentiel de Paek Nam’un qui se réfère au matérialisme historique. Cependant si ce dernier a bien mené des recherches sur les sociétés esclavagistes de la période ancienne et sur les sociétés féodales asiatiques médiévales, il n’a pas produit de recherche concrète sur la transition vers la société moderne ou sur la société colonisée ni sur les périodes ultérieures. Il en est resté à parler  des possibilités des germes capitalistes de la seconde période du Chosŏn et du développement d’un capitalisme transplanté du colonialisme, mais ses recherches n’ont pas porté sur les changements sociaux postérieurs à la modernité qui constituaient le principal sujet d’analyse de Marx.

 

이상에서 식민주의사관에 대한 비판은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강조하거나 경제발전의 내재적 법칙성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민족주의 사학이 타율론을 비판하여 민족문화의 역량과 우수성을 강조한 것을 내재적 발전론이라고 명백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맑스주의 사학이 정체론 을 비판한 것은 내재적 발전론의 개념에 근접하는 것이었다. 

Jusqu’à présent, nous avons vu que la critique de l’histoire coloniale s’était produite dans une direction consistant à insister sur l’excellence de la culture nationale ou bien à montrer la nature régulée intrinsèque du développement économique. S’il est difficile de dire clairement que l’histoire nationaliste avançait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pour affirmer les capacités et l’excellence de la culture nationale en critiquant la théorie de la dépendance, il est un fait que l’histoire marxiste, elle, approchait le concept dans sa critique de la théorie du marasme. 

 

 
 

Texte original

Traduction

북한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

 

 

남북이 분단된 뒤 내재적 발전론을 둘러싼 논의는 남,북한 학계와 일본 학계로 분화되어 전개되었다. 북한 학계는 초기에는 유물사관을 수용하여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연구와 논의를 진행했다. 백남운의 연구에 기반한 삼국시대 사회구성 논쟁이나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 연구가 그것이다. 

 

삼국시대 사회구성 논쟁은 백남운이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하여 삼국시대를 그리스, 로마시대의 고대 노예제사회에 비정한 것에 대한 논쟁이다. 백남운의 견해는 맑스의 아시아사회 정체론에 기반한 아시아적 생산양식론의 입장에서 해석한 견해와 충돌을 빚었고, 기타 여러 가지 절충적 견해와 구체적 연구들이 진전됨에 따라 논쟁은 복잡하게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노예제사회 는 삼국시대 이전에 형성되지만 그리스, 로마시대의 노예제와는 다른 아시아적 성격이 가미된 것이고, 삼국시대 이후에는 봉건제사회가 형성된 것으로 절충, 정리되었다. 역사발전의 지역적 특수현상이 더 적극적으로 해석되면서도 내재 적 역사발전의 의미도 분명하게 부각되었다.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es milieux académiques de Corée du nord

 

 Après la division nord-sud, la discussion autour de la théorie de développement endogène s’est développée de manière distincte entre les milieux académiques nord et sud-coréens et ceux du Japon. Dans les milieux académiques nord-coréens, dans les premiers temps, furent mensées des études et des discussions fondées sur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en appliquant la vision du matérialisme historique. Ce furent les débats sur la constitution des sociétés de l’époque des Trois Royaumes sur la base des études de Paek Nam’un ou bien les études sur les germes du capitalisme de la fin du Chosŏn. Le débat sur les sociétés des Trois Royaumes consistait à les comparer avec les sociétés esclavagistes de l’Antiquité gréco-romaine tout en prenant appui sur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u matérialisme historique. L’avis de Paek Nam’un se heurtait aux points de vue de ceux qui les expliquait sur la base de la théorie des formes de production asiatique fondée sur la théorie du marasme des sociétés asiatiques de Marx. Le débat se déroula de manière complexe selon les avancées d’opinions négociées et de résultats concrets de recherche. Au bout du compte, on convint que les sociétés esclavagistes se formèrent avant la période des Trois Royaumes – bien qu’empreintes d’un caractère asiatique qui les distinguait de celles de l’époque gréco-romaine – et que la société féodale s’était constituée à partir des Trois Royaumes. Ce fut en interprétant de manière plus approfondie les phénomènes régionaux spécifiques du développement historique qu’émargea clairement la question du développement historique endogène.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론은 중국 자본주의 맹아론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일찍이 백남운이 자본주의 맹아의 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한 점도 중시되어 야 할 것이다. 조선 후기에 자본주의 맹아가 발생하고 자본주의적 생산관계가 발전했다는 주장은 1950-60년대 북한 학계의 중요한 학문적 성과로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재적 발전론의 시각에서 얻은 중요한 성과였다. 

 

La théorie des germes du capitalisme de la fin du Chosŏn, bien qu’influencée par son homologue chinoise, devait être considérée comme importante en ce que Paek Nam’un souleva tôt la question des potentialités (du devenir, de l’action) de ces germes. La thèse de la naissance de germes capitalistes au cours de la seconde période du Chosŏn développant des rapports de production capitales peut être estimée non seulement comme un résultat scientifique important du monde académique nord-coréen des années 1950-1960, mais aussi comme avancée significative du point de vue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봉건제사회 이후 사회주의사회가 바로 등장하는 것은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의 원리에서는 전혀 있을 수 없는 사태이기 때문에, 북한 사회주의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자본주의사회의 설정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조선 후기사회에 자본주의 맹아가 발생했지만 일제의 식민지가 됨으로써 이식자본주의사회가 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 백남운의 관점이 수용된 결과라고 여겨진다. 

 

Dans la mesure où il est absolument impossible de passer immédiatement du stade de société féodale à celui de société sociale selon les principes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u matérialisme historique, la mise en place de la société capitaliste dans le processus de développement vers le socialisme de Corée du Nord était une affaire capitale. Convenir qu’en dépit des germes apparus dans la société de la fin du Chosŏn le capitalisme avait été transplanté par la colonisation de l’empire nippon peut être considéré comme le résultat de l’adoption du point de vue de Paek Nam’un.

 

개화파의 갑신정변이나 갑오개혁이 내재적 발전과 일견 모순될 수 있는 외세의 힘에 의지하여, 즉 일본의 무력과 자금 개혁모델에 의지하여, 진행되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도, 이를 근대 자본주의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르주아적 정치변혁으로 적극 평가한 것도 이와 관련된 해석이다.

En dépit du fait que le coup d’État de l’année kap-sin (甲申政變 ; 1884) et la Réforme de l’année kab-o (甲午更張 ; 1894) suscités par la Faction pour la Modernisation Kaehwap’a (開化派) se fussent produits en s’appuyant sur des forces extérieures – c’est-à dire la puissance militaire, le capital et le modèle réformiste du Japon, en contradiction apparente avec le développement endogène – dans la mesure où ceux-ci sont considérés comme des réformes politiques bourgeoises survenues dans le processus d’avancée vers le stade de société capitaliste moderne n’est pas sans lien avec le cadre d’explication que constitu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1970년대 이후 주체사관 수립에 의해 유물사관의 역사평가기준이 사회구성 체론에서 계급투쟁론으로 더욱 기울어 내재적 발전의 동력을 계급투쟁에서 찾고, 특히 근현대사에서는 그 중점을 외세와의 투쟁에서 찾고 있음에도, 북한 학계의 역사상이 내재적 발전론의 방향에서 구축되어 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À partir des années 1970, avec la mise en place d’une conception de l’histoire en conformité avec l’idéologie du Juche, chuch’esagwan (主體史觀), les critères de jugement de l’histoire se sont orientés davantage vers la théorie de la lutte des classes (à partir de celle de la structure sociale), et même si (les idéologues nord-coréens) ont cherché dans la lutte des classes la force de mobilisation du développement endogène, notamment, dans l’histoire moderne et contemporaine où l’emphase fut portée sur la lutte contre les puissances étrangères, il n’y a pas de doute sur le fait la pensée historique des milieux académiques nord-coréens s’est forgée dans une direction allant dans le sens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북한은 사회주의사회 건설 과정에 있었기에 내재적 발전론 수용의 의미는 과거 역사와 현대사의 합법칙적 발전의 연결고리를 확인하는 데 있었다. 특히 근현대사에서는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에서 시작하여 근대 부르주아 민족운 동이 전개되는 단계를 거쳐 항일무장투쟁을 통해 쟁취한 사회주의사회의 건설을 내재적 발전의 논리 위에서 인식하고 있다. 

Dans la mesure où la Corée du Nord était engagée dans le processus de construction du socialisme, l’adoption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signifait confirmer l’existence d’une articulation ordonnée du progrès historique entre passé et histoire contemporaine. Ainsi, notamment en ce qui concerne l’histoire moderne et contemporaine, leur conception de la constrution d’une société socialiste obtenue de haute lutte à travers la résistance armée contre l’impérialisme japonais repose sur l’idée d’un développement endogène qui a commencé par les germes capitalistes de la dernière période du Chosòn puis est passé par le stade des mouvements nationalistes bourgeois modernes.

 

 
 

Texte original

Traduction

남한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

 

 

남한 학계에서는 1960-70년대에 식민주의사관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내재적 발전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식민주의사관을 비판하는 입장은 주로 타율론을 비판하는 계열과 정체론을 비판하는 계열로 구분해서 볼 수 있는데, 전자는 일제강점기 민족주의 사학의 관점을 계승하여 민족문화의 역량과 고유성, 우수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고, 후자는 사회경제적 발전을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포착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양자의 성과를 종합하면 선사시대에서 구석기, 신석기시대의 설정, 고대사에서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비판, 고려사회 성격 논쟁, 당파성론 비판과 새로운 정치사의 발전방향 제시, 실학의 발생과 성장, 사회신분제의 변동과 붕괴, 자본주의 맹아의 발생 근대 부르주아 민족운동 의 전개, 시대구분론의 제기 등을 들 수 있다.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ans les millieux académiques sud-coréens

 

Dans les milieux académiques sud-coréens, la question du développement endogène fut soulevée dans les années 1960-1970 dans le contexte de la critique l’histoire coloniale. Les positions critiques à l’égard de l’histoire coloniale se divisaient en deux courants : celui qui visait principalement la théorie de l’indépendance vis-à-vis d’autrui (hétéronomie), et celui qui portait sur la théorie du marasme. Le premier, développant le point de vue des historiens nationalistes pendant la Période d’occupation impérialiste japonaise, avait tendance à insister sur les capacités, la particularité et l’excellence de la culture nationale. Le second était centré sur le fait que le progrès socio-économique tenait à des conditions endogènes. Si l’on synthétise les résultats obtenus par ces deux courants, ils furent les suivants : définition des périodes préhistoriques du Paléolithique et du Néolithique ; à la période ancienne, critique de l’installation du bakufu d’Imna ; débat sur la nature de la société du Koryò ; critique de la théorie du factionnalisme (黨派性論) et proposition d’une nouvelle orientation de histoire politique ; naissance et croissance des Etudes pratiques sirhak (實學), transformations et effondrement du système des statuts (ordres) de la société ; apparition des germes du capitalisme ; déploiement des mouvements nationalistes modernes bourgeois ; proposition d’une nouvelle périodisation de l’Histoire de Corée.

 

그 가운데 타율론 비판은 주체역량에 의한 한국사의 내적 전개와 그 체계화, 정체론 비판은 한국사에서의 보편적 역사발전원리의 관철을 주요목표로 한 것이었다. 식민주의사관의 타율론, 정체론 비판을 주체성, 발전성의 측면에서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 타율론 비판은 내적 역량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수행되었 기 때문에 내재적 발전론의 한 측면을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도 있지만, 전반적으 로는 정체론 비판의 결과가 내재적 발전론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선 후기 사회신분제의 변동과 붕괴, 자본주의 맹아의 발생, 근대 부르주아 민족운동의 전개 등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Parmi ceux-ci, les principaux objectifs étaient, en ce qui concerne la critique de la dépendance vis-à-vis d’autrui, de systématiser le déploiement endogène de l’Histoire de Corée par ses capacités à se gouverner elle-même ; et, dans le cas de la critique du marasme, d’examiner les principes universels du développement historique à l’œuvre dans cette même histoire (nationale). Il s’agissait de présenter la critique de l’histoire coloniale (théories de la dépendance et du marasme) du point de vue de la capacité foncière à se gouverner soi-même (主體性 ; chuch’esòng) et à se développer. Ici, la critique de la théorie de la dépendance peut être jugée comme proposant le point de vue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ans la mesure où elle insiste sur les capacités intrinsèques, mais on peut considérer que c’est globalement que le résultat de la critique du marasme apparaît dans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À cela correspond concrètement des résultats tels que l’effondrement de la société d’ordres de la dernière période du Chosòn, l’apparition de germes capitalistes et le déploiement des mouvements nationalistes modernes bourgeois.

 

조선 후기사회를 대상으로 한 이런 내재적 발전론은 좁은 시각에서 본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것처럼 내재적 발전론 개념의 외연이 확대되면서 민족문화의 주체역량을 강조하는 연구까지 포괄하게 되어, 때로는 식민주의사 관의 대안으로서 내재적 발전론을 거론하게 되기도 했는데 이것은 넓은 시각에 서 본 내재적 발전론이라고 할 것이다.

 

Une telle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traitant de la fin du Chosòn aborde le problème selon un angle d’approche étroit. De plus, comme évoqué précédemment, avec l’extension du concept de développement endogène y furent incluses les études insistant sur les capacités de gouverner par soi-même de la culture nationale amenant parfois, en réponse à l’histoire coloniale, la discussion sur le terrain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c’est ici ce que nous appelerons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considéré dans une optique large.

 

물론 이런 연구경향이 당시 내재적 발전론으로 명명되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이렇게 식민주의사관을 비판하는 방향이 내재적 발전의 방향이었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일본 학계의 연구방향과 관련하여 년대 이후 내재적 발전론으로 명명되었다. 

Certes, à l’époque, une telle tendance n’était pas désignée comme «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 Toutefois l’orientation prise et qui consistait à critiquer ainsi l’histoire coloniale signifiait l’orientation vers le développement endogène. Ce fut à partir des années 1980 que l’appellation fut admise en relation avec les orientations de la recherche des milieux académiques japonais. 

 

그런데 남한 학계에서는 내재적 발전론의 흐름에 다기한 분화양상이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식민주의사관 비판은 공통점이었지만, 당시 사회에 대한 인식, 남한사회의 발전방향에 대해서는 관점을 달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분화양상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Cependant, dans les milieux académiques sud-coréens, se fit jour le phénomène d’éclatement en branches multiples du courant développant la théorie du progrès endogène. En effet, si, fondamentalement, le point commun à ces courants était la de l’histoire coloniale, leurs points de vues divergeaient quant à la conception de la société de l’époque et aux orientations du progrès de la société sud-coréenne. L’aspect éclaté de ce courant peut être examiné sous deux aspects.

 

먼저 정체론을 비판하여 식민주의사관을 극복하고, 나아가 미래의 역사상까 지 전망하고자 하는 내재적 발전론의 기본방향에 대한 것이다. 정체론에 대한 비판은 1950년대 미국 원조 경제체제하에서 경제수준이 낮았던 시기에는 엄두도 낼 수 없었다. 그러다가 1960년대 민족적 주체적 분위기 속에서 정체론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이 개시되었다. 주로 조선 후기 사회경제의 변화와 변동 속에서 발전양상을 찾아가는 연구에서 출발하여 그것을 근대를 향한, 근대를 준비하는 요소, 현상, 세력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자본주의 맹아 론을 들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국이나 북한에서도 연구와 토론을 진행한 결과 맑스의 아시아사회 정체론을 교정하는 단계에까지 도달한 바가 있었다. 남한은 중국, 북한과 학술교류를 단절한 상태이기는 했지만, 기본적으 로 그런 방향과 보조를 같이했다.

 

Tout d’abord, il est peut être vu selon le point de vue qui, en critiquant la théorie du marasme, orient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vers une vision du futur dépassant l’histoire coloniale. La critique de la théorie du marasme ne pouvait être imaginée à une époque où, dans les années 1950, le niveau économique de la Corée du Sud était bas et qu’était en vigueur un système d’aide par les USA. Puis, ce fut dans l’atmosphère d’autonomie nationale des années 1960, que débuta véritablement la critique de la théorie du marasme. D’une manière générale, de fut sur la base d’études explorant les formes de développement au sein des transformations et soubresauts socio-économiques de la fin du Chosŏn que l’on commença à comprendre quels étaient les éléments, les phénomènes et les forces en présence orientés vers la modernité et la préparant. Parmi ces derniers, on peut citer la théorie sur les germes du capitalisme. Comme nous l’avons mentionné précédemment, en Chine comme en Corée du Nord, le résultat des recherches et des discussions aboutit à l’étape rectifiant la théorie marxiste du marasme. En Corée du Sud, bien que les échanges académiques avec la Chine et la Corée du Nord fussent interrompus, on en partageait fondamentalement l’orientation et l’avancée.

 

그러나  1960-70년대 엄혹한 냉전체제하에서 내재적 발전론은 조선 후기에 국한될 수밖에 없었고, 기껏해야 세기 말까지 이를 뿐이었다. 이런 역사인식이 전망하는 미래상을 명확하게 상정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근대화, 자본주의화의 전망에 그칠 수밖에 없었고, 그 이후 식민지 극복의 방향이나 새로운 국가건설의 방향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미칠 수는 없었다. 이 점이 당시 내재적 발전론이 지닌 한계였고, 여기서 내재적 발전론이 근대주의로 경도될 위험성을 발견하게 된다.

 

1970-80년대에 제기되는 분단시대 사학론이나 민중사학론은 그런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변혁의 당위성에 기반한 역사인식이었다. 그것은 내재적 발전론 이 지향하는 미래의 역사상이 구체성을 갖기 어려운 현실적 조건 아래서 그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다. 따라서 사학사의 흐름에서 볼 때 1990년대 이후 이들 역사인식이 종합되어 내재적 발전의 미래상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해볼 수도 있었지만, 그런 미래상이 정립되기도 전에 년 동구 사회주의권의 붕괴로 인해 사회주의적 전망을 포함한 변혁적 전망에 대한 논의는 침체의 늪에 빠지고 말았다.

Néanmoins, sous le régime sévère de la Guerre froide des années 1960-1970,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ne pouvait que se limiter à la dernière période du Chosŏn, ou, tout au plus, remonter à la fin du XIXe siècle. Dans le cadre d’une telle conception de l’histoire, il était impossible d’envisager une vision claire du futur. L’horizon de la recherche ne pouvait donc que prendre fin avec la perspective de la modernisation et de la mise en œuvre du capitalisme ; quant à envisager le dépassement de la colonisation qui se déroula ultérieurement ou bien la construction d’un nouveau modèle d’État, il ne pouvait en être question. Telle était alors la limite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et, à partir de là, le danger de verser dans le modernisme. Les théories historiques de la division ou de l’histoire par le peuple, minjung sahak, présentées dans les années 1970-1980, reposait sur une conception de l’histoire servant à justifier des réformes radicales et rapides en vue trouver des solutions à ces réalités (qu’étaient le dépassement de l’histoire coloniale et la réforme de l’État). Des méthodes avaient donc été proposées pour sortir de ces réalités, dans des conditions où il était difficile de construire concrètement une représentation de l’histoire orientée vers le futur vers laquelle tendait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Par conséquent, quand on considère le courant de l’historiographie, on pouvait s’attendre à ce que, à partir des années 1990, les conceptions de l’histoire fussent synthétisées et proposent une vision du futur fondée sur le progrès endogène, mais avant qu’on y parvienne, le débat sur la perspective de réformes radicales incluant l’accession au socialisme finit par s’enlisé, et ce, à cause de l’effondrement du bloc socialiste de l’Est de 1989.

 

다음으로 살펴볼 것은 내재적 발전론이 근대주의적 경향을 보이게 된 문제이다. 냉전체제 아래서 미국은 신생국의 사회주의화를 막기 위하여 근대화론을 내세웠다. 이를 이론적 기반으로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개년계획이 추진되었고, 여기 부응하는 역사인식이 내재적 발전론을 근대주의적으로 인식하게 했다. 근대화는 원래 서구 중세사회가 해체되고 근대사회가 수립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여러 사회적 변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질적으로 자주적, 내재적 과정이었다. 그런데 그 근대화가 후진국에 와서는 경제발전단계론이 되고, 식민지에서는 파시즘 = 근대화론이 되고, 냉전체제하에서는 종속적 근대화론이 되고 말았다. 근대화론이 근대를 찬미하고 전통을 배제하는 입장에 서면서도 내재적 발전을 수용할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본질적으로 서구의 내재적 근대화를 모형으로 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식민지를 근대화의 길로 인식하고 종속적 상황에서 고도성장을 꾀하는 역사인식은 오히려 내재적 발전과는 거리가 멀었다. 외부 힘에 의한 발전을 근대화의 길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근대화론이 내재적 발전론보다 오히려 정체론과 만나는 지점이 있다.

 

Ensuite, ce qu’il convient d’examiner, est la question de savoir comment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tend vers le modernisme. Au cours de la période de la Guerre froide, les États-Unis d’Amérique mirent en fin une théorie de la modernisation dans le but de bloquer l’adhésion des nouveaux pays au socialisme. Sur ces bases théoriques furent impulsés, à partir des années 1960, les plans quinquennaux de développement économique, et la conception historique qui y correspondait donnait à comprendr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ans une perspective moderniste. La modernisation signifiait à l’origine en Occident des transitions sociales survenues dans le processus de la mise en place d’une société moderne après le délitement de la société médiévale, c’est-à dire un processus foncièrement autonome et endogène. Toutefois, dans le cas des pays en voie de développement, une telle conception devint théorie de développement économique graduel, où pendant la colonisation, fascime rima avec idéologie moderne, et où, sous le régime de la Guerre froide, elle finit par devenir une théorie de la modernisation subordonnée (au bloc étasunien). S’il était possible d’admettre l’idé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sur une position consistant à louer la modernité et à rejeter la tradition, c’était parce que, fondamentalement, le modèle de modernisation endogène en vigueur était celui de l’Occident ; alors que penser la colonisation comme voie de modernisation dans le contexte de suivisme des théories de la Guerre froide était très loin de l’idée de progrès endogène. Cela revenait à envisager la modernisation comme un progrès dépendant de forces extérieures, et, au bout du compte, à se rapprocher de la théorie du marasme.

 

근대화론의 경향은 오늘날 신자유주의체제로 연결되어 있고, 최근 내재적 발전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가는 역사인식은 이런 상황에서 보면 일면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기도 하다. 근대화론이 내재적 발전을 긍정했던 것은 다만 근대화, 자본주의화를 역사발전의 귀결점으로 보는 관점에서였으며 그런 측면에서 조선 후기의 근대적 요소나 자본주의적 요소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뿐이다. 내재적 발전론의 측면에서라기보다 사회주의체제와의 체제경쟁에서 비롯된 역사관인 것이다.

 

La tendance actuelle est d’articuler modernisation avec néolibéralisme, dont une des conséquences logique est la négation récente de l’idée de progrès endogène. Il existe néanmoins quelques cas où modernisation se concilie avec progrès endogène, mais ceux-ci se limitent au développement du capitalisme et dans le fait d’admettre l’existence d’éléments de modernité et de germination du capitalisme au cours de la dernière période du Chosŏn. Or, une telle vision de l’histoire relève davantage de la concurrence des modèles de sociétés de l’idéologie socialiste qu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근대화는 식민지와 자유주의, 신자유주의체제에 의해 달성되었고, 그 이후의 발전도 그런 흐름 위에 놓여 있다고 파악되고 있다. 오늘날의 근대화론, 즉 근대주의 역사인식은 전통과 근대를 구분지어 전통사회의 내재적 발전을 부정하고, 일제강점기 이후에야 근대화, 자본주의화와 그 발전이 가능했다고 봄으로써 내재적 발전론의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 식민지를 가졌던 선진국의 최근 학문적 경향은 기본적으로 이런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La modernisation s’est produite par la colonisation, le libéralisme et le néolibéralisme, et son développement ultérieur se conçoit comme porté par ce grand courant. La modernisation, de nos jours, c’est-à dire la conception moderniste de l’histoire, distingue tradition et modernité, rejette le progrès endogène et considère que la modernisation, l’accession au capitalisme et le progrès ne furent possibles qu’à partir de l’occupation de l’empire nippon, perdant ainsi la signification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La tendance académique récente des pays développés coloniaux s’appuie fondamentalement sur une telle conception. 

 

남한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은 이와 같이 두 가지 흐름을 내포하고 있었다. 근대 이후의 변혁적 전망에 이르지 못하고 근대에서 멈추어버린 내재적 발전론 과 근대적 환상에 빠져 결국 전통과 단절됨으로써 내재적 발전론의 의미를 상실한 것, 이 두 가지이다.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평가도 이 두 가지 흐름을 구별하여 각각에 대해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그 논의가 혼동되고 있는 경향이 없지 않다.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es milieux académiques sud-coréens contient les deux courants : celui du progrès endogène qui s’est arrêté à l’époque moderne sans pouvoir parvenir aux réformes auquel il aspirait, et celui de l’illusion moderne, impliquant la perte du sens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u fait de la rupture avec la tradition. Le jugement sur la théorie devrait donc tenir compte de la distinction entre ces deux courants, mais, actuellement, la discussion a fréquemment tendance à les confondre.

 

 
 

Texte original

Traduction

일본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

 

 

한편 일본 학계의 경우 제국주의시대에는 제국주의사관을 가진 계열과 맑스 주의 사학 계열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제국주의사관은 일본 황국사관의 논리와 맞닿아 있다. 따라서 이들의 시각에서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한국사상韓國史像을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반면 맑스주의 사학 계열은 맑스의 이중적 역사관,  즉 보편적 내재적 발전론으로서의 유럽사관과 정체론을 특징으로 하는 아시아사관에 의해 구별될 수 있는데, 한국 역사에 대해서는 아시아적 정체론에 입론을 두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제국주의시대 일본 학계의 한국사인식은 좌우를 막론하고 정체론적 시각에 입각해 있었다.

 

태평양전쟁에서 패배한 뒤 일본 학계는 제국주의시대에 대한 비판과 반성을 모색했던 좌파 계열과 여전히 제국주의적 시각을 버리지 않고 계승했던 계열로 구별될 수 있다. 한국 역사에 대해서도 그와 같은 인식의 분화가 나타났다. 제국주의적 시각을 지닌 계열은 여전히 제국주의사관 혹은 식민주의사관에 입각하여 한국사를 파악하고 있다.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es milieux académiques japonais

 

Dans le cas des milieux académiques japonais, à l’époque impérialiste, il convient de distinguer le groupe défendant une vision impérialiste de l’histoire du groupe marxiste ; la vision impérialiste rejoint en effet la logique présidant à la vision de l’histoire du Japon impérial. Conséquemment, de leur optique respective, il est impossible d’attendre une représentation de l’histoire de la Corée (韓國史像) fondée sur la théorie de développement endogène. En revanche, ainsi du groupe de l’historiographie marxiste se dessinent une double vision de l’histoire : l’européenne, selon la théorie de développement endogène universelle, et l’asiatique, ayant pour caractéristique la théorie du marasme ; il était ainsi courant de théoriser l’Histoire de Corée à partir de la théorie du marasme. Ainsi, la conception de l’histoire de Corée dans les milieux académiques japonais de l’époque impérialiste, qu’ils soient de gauche ou de droite, se fondait sur l’approche de la théorie du marasme. Après la défaite de la Guerre du Pacifique, les milieux académiques japonais se divisèrent en deux groupes : le groupe des historiens de gauche qui critiquaient la période impérialiste et cherchaient un moyen de faire un retour sur soi, et le groupe qui demeurait fidèle à une vision impérialiste. La conception de l’Histoire de Corée reposait sur cette même distinction. Le groupe représentant l’approche impérialiste avait donc une compréhension de l’Histoire de Corée fondée sur une conception impérialiste ou colonialiste de l’histoire.

 

식민지체제의 후유증과 세계적 냉전의 첨예한 대립으로 인해 한국전쟁이 일어나고 한민족이 고통 속에 빠져 있을 때, 일본은 한국 역사의 타율론과 정체론의 특징을 더 분명하게 규정하고 정리했다 (四方博, "구래의 조선사회의 역사적 성격에 대하여", "조선학보" 1, 2, 3, 1951-52). 반면 제국주의의 침략행위에 대한 비판과 반성을 모색하는 계열에서는 한국사 또는 조선사를 그 민족의 주체적 입장에서 내재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시각을 제시했다. 그것이 바로 내재적 발전론의 입장이다.

 

La Guerre de Corée éclata à cause des séquelles de la colonisation et de la confrontation aigüe de la Guerre froide mondiale ; quand la nation coréenne se trouva plongée dans la souffrance, le Japon précisa et réévalua de manière encore plus nette les théories de la dépendance vis-à-vis de l’extérieur et du marasme comme spécificités de l’Histoire de Corée (Hiroshi Shikata, « À propos du caractère historique de la société coréenne depuis les temps anciens », Chosòn hakpbo 1-2-3, 1951-1952). En revanche, le groupe qui cherchait à mettre en cause l’attitude impérialiste invasive du Japon et à faire un examen de conscience proposa une approche dans laquelle il fallait comprendre l’histoire de la Corée du Sud ou du Chosòn selon un point de vue endogène comme une histoire où la nation jouait le rôle principal. Une telle positon était précisément celle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기실 내재적 발전론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의 이런 연구경향을 1980년대에 들어와 개념규정한 것이었다. 물론 그 내용은 이미 논의해온 바와 같이, 일제강점 기부터 남북한 일본 학계에서 전개되어온 것이었다.

En réalité, l’expression « progrès endogène » fut définie comme concept au début des années 1980 alors que la recherche au Japon marquait l’inflexion que nous venons de voir. Le contenu de l’expression était évidemment chargé de tout ce qui s’était produit dans les milieux académiques depuis la période d’Occupation, dans les deux Corées et au Japon et dont nous avons parlé.

 

그런데 일본에서의 내재적 발전론 논의는 좌파 계열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들은 미국의 아시아지배와 미국주도로 이루어진 일본, 한국과의 안보조약 체결을 통한 사회주의권 봉쇄정책에 강력하게 반발했다. 이들의 내재적 발전론 은 역사학에서나 현실에서 사회주의적 전망을 갖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그 이론적 기원을 맑스주의 유물사관의 내재적 발전론에서 찾으며,  그것을 한국역사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마땅히 사회주의사회로의 전환을 전망하는 것일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한국 역사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아시아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한 일본 좌파의 역사인식이었다. 따라서 중공, 북한, 북베트남혁명 과정과 민족해방투쟁의 전진을 선망하면서 미, 일 안전보장체제 아래 놓인 일본 사회체제를 역사발전의 후진성으로 이해하기도 했다.

 

Cependant, au Japon, la discussion sur le développement endogène fut menée par le groupe gauchiste. Les membres du groupe s’opposaient fortement à la politique de blocus vis-à-vis du bloc socialiste mise en place à l’instigation des USA à travers l’adoption du Traité de sécurité tripartite entre les Etats-Unis, le Japon et la Corée du Sud et rendue possible par la domination étasunienne en Asie. Leur théorie du progrès endogène était porteuse de la perspective socialiste dans l’histoire et la réalité. Pour eux, l’origine de la théorie était à trouver dans la vision matérialiste marxiste de l’Histoire et, appliquée à l’Histoire de Corée, elle ne pouvait qu’aboutir à la transition vers le socialisme. Une telle conception de l’histoire de la gauche japonaise ne se limitait pas à la Corée, mais à l’ensemble de l’Asie. Dans une telle perspective, ils comprenaient aussi que, placée sous les conditions du Traité de sécurité Nippo-américain, la société japonaise se trouvait, historiquement, dans une situation de retard comparativement à l’avancée que représentaient la révolution et la lutte de libération nationale de la Chine, de la Corée du Nord et du Nord Vietnam, et qu’ils enviaient.

 

이런 상황에서 내재적 발전론은 역사발전의 최종적 귀결을 사회주의로 상정 하고 그 합법칙적 과정을 설명하는 방법이었고, 조선 후기사회의 신분제 붕괴론이나 자본주의 맹아론, 개항기의 부르주아 혁명운동론, 식민지 민족해방운동론, 해방공간의 변혁운동과 한국전쟁은 그 일관된 논리 아래서 파악되었다. 사회주 의 건설을 추진하는 북한의 존재는 남한 사회변혁의 추동력이 되었으며, 일본 사회주의혁명의 선구로 비쳐졌다.

 

Dans ce context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était envisagée dans le cadre de l’accession historique ultime des sociétés au socialisme, et ses sectateurs s’employaient à en expliquer le processus de manière ordonnée au sein duquel, une même logique permettait de comprendre successivement l’effondrement de la société d’ordres et la germination du capitalisme à la fin du Chosŏn, les mouvements bourgeois de révolute de la période d’Ouverture des ports, les mouvements de libération nationale de la période coloniale, les réformes radicales rendues possibles à la Libération et la Guerre de Corée. Aussi, l’existence de la Corée du Nord qui était avancée dans la construction du socialisme, constituait, de leur point de vue, une force d’entraînement pour des réformes sociales en Corée du Sud, et apparaissait en précurseur comme un phare pour la révolution socialiste au Japon.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남한을 비롯하여 대만, 홍콩, 싱가포르의 고도경제성장은 아무도 예상치 못한 경제적 성과였다. 더구나 이 네 지역이 공통적으로 일본의 식민통치를 경험했다는 점은 내재적 발전의 방향과 내용을 재검토하게 했다. 내재적 발전의 귀결이 사회주의라는 주장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결국 동구 사회주의권의 붕괴는 이를 증명한 것처럼 이해되었다.

 

Cependant, à partir des années 1980, le haut niveau de croissance enregistré par la Corée du Sud, Hong Kong, Taïwan et Singapour fut un résultat économique que personne n’avait prévu. De plus, le fait que ces quatre régions avaient pour point commun d’avoir été colonisées par le Japon impliquait de réexaminer les orientations et le contenu du développement endogène. La thèse du socialisme comme aboutissement du progrès historique fut critiquée et, au bout du compte, l’effondrement du bloc socialiste en Europe de l’Est était censé en faire la démonstration.

 

그리하여 일본에서는 식민지적 근대화의 길이 새삼 재론되고, 종속적 자본주 의화의 가능성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쇄도했다. 따라서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비판도 강화되었다. 한편으로는 내재적 발전론의 사회주의적 전망이 한계에 봉착했으므로 내재적 발전론은 이제 폐기되어야 한다는 비판이 나왔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재적 발전론이 오히려 식민지적 종속적 자본주의화의 길을 긍정하는 근대주의적 논리로 기능하기 때문에 폐기되어야 한다는 비판도 있었다.

 

Ainsi, au Japon, la voie de la modernisation coloniale fut rediscutée et l’on se rua dans une vue optimiste des possibilités de construction d’un capitalisme dans le cadre de la soumission au colonisateur. Par conséquent, la critique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en sortit renforcée. D’une part, fut mise en avant la critique selon laquelle il fallait à présent abandonner la théorie en raison des limites que représentait désormais l’issue socialiste ; d’autre part, s’élevèrent des voix selon lesquelles il fallait l’abandonner parce qu’elle fonctionnait finalement comme une logique moderniste présentant de manière positive la construction du capitalisme sous le joug colonial.

 

이렇게 상반된 비판이 제기된 것은 남한 학계에서 전개된 내재적 발전론의 두 가지 흐름을 일본 학계가 명확하게 읽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남한 학계의 내재적 발전론은 곡해되면서 그 파기를 종용받았다. 사회주의권이 무너졌으니 사회주의적 전망을 가진 내재적 발전론을 포기하라고 하고, 식민지적 종속적 자본주의화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가진 내재적 발전론이 문제시되기도 했다. 어쨌든 일본 좌파의 붕괴로 일본 학계는 한국 역사의 내재적 발전론을 폐기하는 방향을 취하게 되었고, 그것은 어쩔 수 없이 식민지 근대화론을 긍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La montée de ces critiques contradictoires s’explique par le fait que les milieux académiques japonais n’avaient pas clairement décrypté les deux courants sur la théorie du progrès endogène tels que développés dans les milieux académiques sud-coréens. Comprise de manière déformé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es milieux académiques sud-coréens était condamnée. Avec l’effondrement du bloc socialiste, il fallait abandonner la perspective socialiste de la théorie du progrès historique et poser le problème d’une perspective optimiste qu’aurait présentée la construction du capitalisme par la colonisation.

Quoi qu’il en soit, en raison de l’écroulement des partis de gauche, les milieux académiques japonais optèrent pour l’abandon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e l’Histoire de Corée, et s’orientèrent, sans pouvoir vraiment faire autrement, vers une vue positive de la modernisation par la colonisation.

 

 
 

Texte original

Traduction

내재적 발전론의 의의

 

내재적 발전론은 역사발전을 긍정하고 발전의 계기를 내적 측면에서 추구함 으로써 일국사적一國史的 역사발전의 의미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미를 지닌다. 특히 제국주의침략에 의해 식민지가 된 나라의 역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한국 역사에서도 그 점은 마찬가지이다. 주체적이고 내재적인 관점에서 한국 역사의 전개 과정을 발전적으로 인식함으 로써 민족적 자부심을 키울 수 있고 미래에 대한 전망도 밝아질 수 있다.

 

La signification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comporte un sens positif dans la mesure où elle montre la signification du développement historique d’un même pays par la recherche des conditions de son développement dans des aspects endogènes au dit pays. Elle constitue notamment un moyen de surmonter la vision négative de l’histoire d’un pays devenu colonie par suite d’invasions impérialistes. C’est le cas dans l’Histoire de Corée. Concevoir en effet le développement de l’Histoire de Corée dans le sens du progrès à partir d’un point de vue autonomiste et endogène permet de cultiver la fierté nationale et d’ouvrir des perspectives pour le futur.

 

내재적 발전론이 지니는 전망은 근대적 전망과 근대 이후에 대한 전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주의사관에 대한 비판이 과거 역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함으로써 민족해방을 전망하는 데 머물렀다. 해방 이후 북한은 자기 사회를 사회주의 건설 과정으로 파악함으로써 내재적 발전론 이 근대 자본주의사회의 설정과 그 성격규명에 치중하게 되었고, 따라서 내재적 발전론의 과제는 조선 후기 자본주의 맹아의 발생, 발전을 확인하는 것, 근대 부르주아 혁명운동의 존재와 양상을 파악하는 것, 민족해방운동의 혁명적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과거 역사와 현대사의 합법칙적 발전의 연결고리를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고 하겠다.

 

Les perspectives offertes se partagent entre celles qui ouvrent sur la modernité ou l’après modernité. Pendant l’Occupation impérialiste nippone, la critique de l’histoire coloniale visant à dépasser une conception négative de l’histoire du passé, en restait à une perspective de libération nationale. Après la Libération, la Corée du Nord, expliquant que sa société était engagée dans la construction du socialisme, a fait pencher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vers la définition et la caractérisation du capitalisme moderne, lui donnant ainsi pour mission de montrer comment étaient apparus et s’étaient développés les germes du capitalisme à la fin du Chosŏn, de comprendre l’existence et les aspects revêtus par les mouvements réformistes bourgeois et de mettre en évidence le caractère révolutionnaire des mouvements de libération nationale. Nous dirons que le point de départ de la théorie consista à montrer l’articulation entre l’histoire du passé et le progrès ordonné de l’histoire moderne.

 

반면 남한 학계의 경우, 하나의 조류는 근대적 전망을 거쳐 근대 이후의 변혁적 전망을 포함했지만 냉전 및 독재체제하에서는 근대적 전망에 그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다른 하나는 식민지적 종속적 근대화, 자본주의화의 길을 긍정함으로써 오히려 전통과의 단절을 초래하여 내재적 발전론의 의미를 상실하는 결과를 빚기도 했다. 더구나 사회주의권의 붕괴는 변혁적 전망에 대한 기대를 반감시켰고 다양한 방향으로의 사회발전을 모색하 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놓이게 했다. 

 

일본 학계에서는, 여전히 제국주의사관에 입각하여 한국 역사를 파악하는 시각의 한편에서 사회주의적 전망을 가지고 한국 역사를 내재적 발전론의 입장에서 파악하려는 경향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발전과 사회주의권 붕괴에 영향을 받아 식민지적 종속적 근대화 자본주의화를 수용하는 경향이 우세해졌다. 

En revanche, dans le cas des milieux académiques sud-coréens, un courant offrait la perspective de modernisation et, potentiellement, de réformes d’un au-delà de la modernisation, mais, dans le contexte de la Guerre froide et de la dictature, il présentait la limite de ne pouvoir proposer concrètement que la modernisation. Un autre courant, considérant positivement la modernisation et l’accession au capitalisme par la voie de la soumission au colonialisme, envisageait plutôt une rupture avec la tradition et aboutissait à vider de son sens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Qui plus est, l’effondrement du bloc socialiste produisit un sentiment de rejet vis-à-vis de l’aspiration à des réformes radicales, et plaça la Corée du Sud dans une situation où il fallait chercher des formes de progrès social d’orientations diverses.

Du côté des milieux académiques japonais, alors que persistait l’approche de l’Histoire de Corée à partir de l’histoire coloniale, la tendance à comprendre cette histoire selon le point de vue de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dans une perspective vers le socialisme exerçait une influence non négligeable. Cependant, à partir de années 1980, influencée par le développement économique de la Corée du Sud et par l’effondrement du bloc socialiste, la tendance à accepter la thèse de la modernisation et du capitalisme par la voie coloniale prit le dessus.

 

그러나 내재적 발전론이 왜곡된 식민주의사관을 비판한 점, 미래사회에 대한 변혁적 전망을 제시한 점, 역사발전에서 그 지역 주민의 주체성과 책임감을 강조한 점 등은 큰 성과로 이해된다. 내재적 발전론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그 긍정적인 면을 수용한다면 내재적 발전론은 여전히 연구방법상 중요한 의의를 지닐 것이다. 더구나 식민지를 경험한 한국에서, 아직도 그 식민지가 남긴 부정적 유산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Toutefois la théorie du développement endogène a aussi obtenu d’important résultats : la critique de l’histoire coloniale biaisée, la perspective de réformes pour la construction de la société de demain, l’insistance sur l’autonomie et la responsabilisation des acteurs locaux, etc. Si l’on dépasse les limites de la théorie et que l’on en accepte les aspects positifs, celle-ci continuera de revêtir un sens important du point de vue de la méthodologie de la recherche historique. Cela est d’autant plus vrai qu’en Corée du Sud, marquée par la colonisation, les séquelles de cette expérience sont toujours présentes. 

 

 
 

Autour du texte:

인하대학교 인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근대사를 전공했다. 대표논저로 "대학과 농민전쟁" "한국 근대 지세 제도와 농민운동"등이 있다. 

 

Professeur au Département des Sciences Humaines de l’Université Inha, spécialiste de l’histoire moderne de Corée. Ses principaux ouvrages sont : Les Sciences de l’Est (Tonghak) et les guerres de la paysannerie ; Le système moderne de l’imposition foncière en Corée et les mouvements paysans.

Academy of Korean studies Inalco Université Paris Diderot-Paris 7 EH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