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elier de traduction : 17. 1970년대 청년문화론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Texte original:

1970년이 되자 대학가에서는 학생운동이 침체한 가운데 통기타 - 블루진 (청바 지) - 생맥주 (이하 '통 - 블 - 생' )로 대표되는 생활양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편 1968년 세계 곳곳에서 분출한 학생운동의 열기와 함께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에 서의 대규모집회, 워싱턴 - 뉴욕에서의 반전시위에서 보인 미국 청년들의 힘은 국내 식자층의 관심을 끌었다. 학생운동의 파고가 국내와 국외에서 상반된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우리 젊은이들의 이른바 '퇴폐적'인 생활양식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두고 고민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Traduction(s)

La controverse sur la culture des jeunes des années 1970

Texte original

Traduction

1970년이 되자 대학가에서는 학생운동이 침체한 가운데 통기타 - 블루진 (청바 지) - 생맥주 (이하 '통 - 블 - 생' )로 대표되는 생활양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편 1968년 세계 곳곳에서 분출한 학생운동의 열기와 함께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에 서의 대규모집회, 워싱턴 - 뉴욕에서의 반전시위에서 보인 미국 청년들의 힘은 국내 식자층의 관심을 끌었다. 학생운동의 파고가 국내와 국외에서 상반된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우리 젊은이들의 이른바 '퇴폐적'인 생활양식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두고 고민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A l’aube de l’année 1970, dans le milieu étudiant, sur fond d’étiolement des mouvements politiques, un nouveau mode de vie a commencé à apparaître, représenté par le Guitare-Bluejean-Bière (dans la suite du texte, GBB). Parallèlement, avec la ferveur des mouvements d’étudiants qui ont émergé dans de nombreux endroits du monde en 1968, le grand rassemblement du Festival de Woodstock de 1969, la virulence des jeunes américains dans les manifestations contre la guerre du Vietnam à Washington et à New York, ont attiré l’attention des intellectuels coréens. Alors que ces mouvements d’étudiants montraient des tendances opposées en Corée et à l’étranger, certains se demandaient sérieusement quoi penser de ce mode de vie vu comme « dégradant » des jeunes Coréens.

 

 
 

Autour du texte:

허수

한림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근대사를 전공했다. 대표논저로 "근대를 다시 읽는다" (공저),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공저) 등이 있다. 

 

HEO Su

Chercheur à l’université Hallym. Spécialiste de l’histoire prémoderne de la Corée. Parmi ses ouvrages, « Relire la période prémoderne » (co-auteur), « Comment avons-nous vécu ces 100 dernières années ? » (co-auteur).

Academy of Korean studies Inalco Université Paris Diderot-Paris 7 EH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