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e original : 1-4. 고려 초기의 정치체제와 호족연합정권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고려는 후삼국의 분열과 통일전쟁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성립했다. 9세기 말엽 신라의 국가체제는 큰 혼란에 빠졌고, 지방 각지에서 중앙정부의 지배로부 터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한 이들이 대두했다. 연구자들은 이들을 보통 "호족豪族"이라고 부른다. 고려의 통일 과정은 곧 호족들의 통합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는 호족을 회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태조 왕건은 이른바 중폐비사重幣卑辭(많은 예물과 겸손한 말)와 정략결혼을 통해 호족들을 고려 편으로 끌어들이는데 성공했고, 이것이 후삼국 통일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호족연합정권설豪族聯合政權說 (이하 "연정설"로 약칭)은 바로 호족들을 통해 고려국 가 성립의 의의를 찾는 연구시각이다. 연정설은 고려 초기 정치체제가 국왕 중심의 집권적 형태를 갖추지 못하고 각지에서 대두한 호족들의 연합형태를 취하고 있었다고 보았다. 고려는 신라 말부터 대두한 지방호족들을 회유와 포섭을 통해 통합해나갔고, 이것이 통일의 기반이 되었기 때문에, 고려 초기 정치체제에서 국왕권은 호족에 대해 일방적 우위를 가질 수 없었다는 것이다.

 

한편 학계 일각에는 연정설에 비판적인 견해도 있다 (이하 "비판론"으로 약칭). 비판론은 새로운 사회세력으로서 호족의 역사적 의미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고려 건국의 의미나 고려 초기 정치체제를 호족연합정권으로 설명하는 것은 반대한다. 국가 내지 국왕 주도의 정치체제로 봐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고려 초기의 역사를 이해할 때 연정설이 호족에 무게를 둔다면, 비판론은 국왕 내지 국가에 무게를 두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연정설 논쟁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기로 평가되는 고려 초기의 역사를 이해하는 시각과 관련된 논쟁이다. 각 입론들은 고려 초기의 정치 과정과 정치제도 등을 통해 논지를 보강하고 있는데, 주요 논쟁점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자 각 연구자들에 따른 개별적인 부문 해석의 편차는 생략하고, 두 논설의 대비를 위해 포괄적으로 정리해보겠다.

Academy of Korean studies Inalco Université Paris Diderot-Paris 7 EH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