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elier de traduction : 1-3. 삼별초는 어떤 조직인가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Texte original:

12.3세기 고려사회는 대내외적인 어려움에 처해 있었다. 대내적으로 의종 24년 (1170)무인정변 이후 정치적 혼란과 향촌사회의 대대적 저항에 직면했고, 대외적으로는 거란유종契丹遺種-몽골 등 북방세력의 지속적인 침략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집권세력들은 사병을 양성하여 정권을 유지하려 했지만 사병은 사적인 관계 외에는 역할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최씨 정권은 사병과 별도로 삼별초三別抄를 조직했다. 삼별초는 공병-사병적 요소를 동시에 지닌 군사조직 이었고, 대몽항쟁기 고려 군사력의 중심이었다. 삼별초는 원종 11년(1270)국왕에 의해 전격적으로 해체되면서 대대적인 대정부-대몽골항쟁을 펼쳤다.

 

삼별초에 대한 평가로는, 우선 1970년대 -1980년대 초반까지 주로 국난극복 이라는 명제 아래 "무신들의 호국전통" 혹은 "반정부-반몽골투쟁을 처절하게 전개한 용맹스런 활동" 등 삼별초의 대외항쟁 측면을 부각시키는 것이 주된 흐름이었다. 이후의 연구에서 삼별초 조직은 무인정권의 권력유지를 위한 무력수단으로 파악되었지만, 이들의 대정부 대몽골항쟁을 12-13세기 민의 항쟁과 연결하여 의의를 파악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삼별초의 항쟁은 어디까지 나 개경환도와 삼별초 혁파에 따른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결코 몽골의 박해가 염려되어 항쟁을 일으킨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견해도 피력되었다. 이런 연구들은 삼별초의 활약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주지만, 서로 혼재되어 자칫 그 본질을 혼동하게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삼별초 조직의 배경과 역할을 중심으로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의종  24년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이의방李義方 등 무신들은 정변을 통해 문신들 을 대거 살육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무인정변은 기존 지배질서를 붕괴시켰으며, 정치-경제-사회-문화 각 분야에서 고려사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 결과 외연상으로는 문신 중심의 문벌귀족사회가 와해되고 무신이 주된 정치세력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집권세력 내부의 알력 때문에 정치권력은 안정되지 못했다.

 

무인정권은 이고 이의방 정권  -> 정중부 정권 -> 경대승慶大升 정권 -> 이의민李 義旼 정권 -> 최씨 정권 (최충헌崔忠獻 - 최우崔瑀 - 최항 崔沆 - 최의崔竩) ->  김준金俊 정권 -> 임연 林衍 임유무林惟茂 정권으로 이어졌다. 물론 이들 역시 중앙의 권력쟁탈과 향촌사 회 동요에 따른 위기국면을 벗어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을 보여주기도 했다. 명종 18년(1188)의 "개혁교서"와 최충헌의 "봉사 10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잦은 정변으로 인한 정국불안을 해소하고 정치현안의 모순구조를 척결함으로써 정치안정을 이루려는 것이었다. 하지만 국가권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보다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적 지배수단을 확대하던 무인정권의 속성상 그 실현에 한계가 있었다.

 

무인집권기에는 12세기 전반부터 소극적으로 진행되었던 향촌사회의 저항이 전국적 - 대대적인 저항으로 확대되었다. 향촌사회의 저항은 서북면 지역에서시작되어 중 - 남부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이들 저항은 주로 12세기 전반의 사회경제적 모순에서 비롯되었으며, 신분제사회의 모순이 배가되면서 더욱 고조되었다. 이에 중앙정부는 지방관을 확대하여 향촌사회를 강력하게 지배하 려 했고, 향촌사회를 주도하던 재지세력들은 이런 통치질서에 결합 또는 대립이 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대응했다. 더구나 무인정변 이후 집권세력은 사적 지배기 반을 확대함으로써 사회경제적 폐단을 가중시키거나, 향촌사회의 반발을 주로 무력으로 진압하려 했다. 이는 결국 국가권력재지세력민의 지속적인 대립으 로 이어졌다.

 

향촌사회의 대대적이고 지속적인 저항은 그 분산성과 저급성으로 인해 중세 체제의 모순을 극복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물론 저항 중에는 최씨 집권기의 신라 - 고구려 - 백제 부흥운동처럼 고려사회 혹은 무인정권을 전면부정하는 경우 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역시 지역 중심의 저항세력을 결집시킬 수 있다는 명분에서 는 커다란 효과가 있었지만, 집권세력의 강력한 진압책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한편 고종 3년(1216) 거란유종의 침입으로 최씨 정권에 대한 불신감이 노골화 되고 전쟁을 치르는 동안 가혹한 착취현상이 드러나면서, 신종 대(1197-1204) 이후 소극적으로 펼쳐지던 향촌사회의 저항이 재차 촉발되었다. 급기야 고종 18년(1231) 의 몽골침입은 최씨 정권의 유지뿐만 아니라 고려의 운명을 좌우했다. 최씨 정권의 임전태세는 이 시기 향촌사회의 동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최씨 정권은 몽골과 1차 전쟁을 치른 바로 이듬해에 곧바로 강화천도江華遷都를 단행했다. 전쟁이 일어났을 때 국왕이 피난하는 것은 어느 시기에나 있었던 일이다. 그러나 대외침략을 당하면서 수도를 옮긴 것은 최우 정권의 강화천도가 유일했다. 그들로서는 강화천도가 불가피한 선택이었고, 전술상으로 단기전을 획책하는 몽골의 파상적 공격을 피하기에 유리한 점도 있었다. 하지만 다음과같은 점들을 도외시할 수 없을 것이다.

 

우선 1차 대몽전쟁 (고종  18-19, 1231-1232) 패배의 중심에 최우 정권이 있었음 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둘째, 몽골의 승전 이후 요구 중에 고려 국왕의 친조親朝가 있었는데, 이는 국왕을 볼모로 했던 최우 정권으로서는 수용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셋째, 1차 대몽전쟁에서는 초적草賊 같은 저항세력이 중앙정부에 협력하 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후 사회전반적으로 무인정권에 저항하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었다. 이 모두가 최우 정권의 권력유지에 커다란 걸림돌이었고, 그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은 강화천도 같은 응급처방이었다.

 

최씨 정권의 대몽항쟁은 강화천도 같은 소극적 저항의 형태였지만, 이와 달리 육지에 남겨진 일반민들은 대정부 - 대몽골 이중의 저항을 벌였다. 특히 강화천도 이전 몽골의 1차 침입에 직면했던 저항세력은 일시적으로 중앙정부와 협력하면서 적극적인 대몽항전을 펼쳤다. 그러나 최씨 정권의 강화천도를 계기로 반정부적 양상은 더욱 고조되었다. 중앙정부와 저항세력의 협력관계가 지속되지 못했던 것은, 이 시기 저항이 12세기 사회모순에 대한 저항의 연장선에 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촌사회의 대몽항쟁은 새로운 수탈자 몽골의 무차별적 침략행위에 대항하는 그들 스스로의 자위적 행위라는 측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런데 고종 40 (1253)년 이후부터 저항세력들이 몽골에 직접 투항하는 현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일반민의 투항은 일차적으로 굶주림이라는 현실적인 처지의 해결, 강도정부江都政府의 가혹한 수탈에 대한 대응, 그리고 새로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욕구 등에서 비롯되었다. 이런 현상은 최씨 정권의 몰락을 재촉했고, 종국에는 몽골과 강화를 맺을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까지 몰고 갔다.

 

고종 46년(1259)의 대몽강화는 형식상으로는 전쟁이 끝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원종과 김준 임연 정권이 대몽관계에서 계속 대립하고 있었던 점에 비추어볼 때, 전국에 걸쳐 대몽항쟁의 기운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또한 몽골세력에 의지한 원종은 무인정권 마지막 집정자였던 임유무를 제거하 여 무인정권을 붕괴시킴과 동시에 삼별초를 전격적으로 해체했다. 이에 삼별초 는 중앙정부를 부정하고 몽골에 정면으로 대항했다. 그에 따라 전국 각 지역에서 삼별초 항쟁에 영향을 받은 저항이 일어났고, 이는 고려 정부와 몽골 조정에 상당한 충격을 주었다.

무인정권의 권력은 기존 정치질서를 그대로 수용하여 유지된 측면도 있었지만, 공적 질서를 초월한 사적 권력체계에 의지한 면이 더 컸다. 이들 집권세력의 권력기반은 주로 문객門客 - 사병私兵 등 사적 군사조직이었다. 이들에게는 정권에 대한 도전세력을 제압하고 향촌사회의 저항을 불식시켜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공적 지배체제 외에 사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무력이 필요했다. 이런 사적관계는 자신이 의탁한 우두머리에게 충성을 바치고 우두머리가 그들의 출세를 보장해주는 상호보완적 결속관계를 맺고 있었다. 예컨대 무인정 변의 행동대였던 이고가 그들 무리와 은밀히 교제하면서 "대사大事가 이루어지 면 너희들은 모두 높은 관직에 오를 것이다"라고 약속하면서 가짜 임명장을 만들어주었다거나, 경대승이 도방都房을 조직하여 그들과 숙식宿食을 같이하는 등의 성의를 보이며 그들의 불법행위까지 용인해주었던 사실, 그리고 최충헌의 생질 박진재朴晋材가 사병을 양성하면서 "내 문객들은 용감하고 날랬지만 관직을 얻은 자가 적었다"라고 최충헌에게 불평한 사실 등이 그 예가 될 것이다. 물론 이들은 우두머리가 제거되면 곧바로 해체당하거나 상대방에게 흡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4대에 걸쳐 60여 년간 정권을 유지했던 최씨 정권 역시 국가의 공적 지배체제 를 초월하는 사적 권력체제를 확립했다. 최충헌은 교정도감 도방 - 정방 - 서방 등 사적 지배기구를 통해 권력을 강화했다. 아울러 이들은 막강한 사병을 보유하고 있었다. "최충헌이 가병家兵을 사열하는데 좌경리로부터 우경리까지 군사들이 두서너 겹으로 열을 지어 2 - 3리에 뻗쳤으며, 창자루에 은병을 매달아 나라 사람들에게 자랑해 보이며 오는 사람들을 모집했다. 아들 최우의 가병은 선지교로부터 이령을 지나 숭인문까지 이르렀는데 깃발을 세우고 북을 울리면서 전투를 연습했다. 문객 중에서 북방정벌에 종군하기를 청하는 자가 있으면 즉시 먼 섬으로 귀양보냈다"라거나, "날쌔고 용맹스러운 자는 모두 최충헌과 그 아들 최우가 차지했고, 관군은 모두 늙고 약하고 파리한 군졸뿐이었다"라는 등의 사례를 통해서 이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은 사병 외에 삼별초라는 공병적 성격의 군대도 조직했다.

 

처음에 최우는 나라 안에 도적이 많음을 근심하여 용사들을 모아 매일 밤 순찰하여 횡포를 막게 하고, 이를 야별초夜別抄라 불렀다. 도적이 여러 도에서 일어나자 별초를 나누어 보내 체포하게 했다. 그 군대가 매우 많아 좌 - 우로 나누고, 또 나라 사람들 가운데 몽골에서 도망쳐 돌아온 자들로 일부를 만들어 신의神義라고 불렀다. 이것이 삼별초가 되었다.

 

이에 의하면, 삼별초의 전신인 야별초는 처음에는 나라 안의 도적을 막기위해 조직되었으며, 향촌사회의 치안을 함께 수행했다. 이는 중앙뿐만 아니라 전국에 걸친 치안유지의 공백상태를 야별초가 대신 감당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도적이란 비단 남의 물건을 훔치는 자만이 아니라 최씨 정권의 정적 혹은 향촌사회의 저항세력을 가리키기도 한다. 야별초는 최씨 정권이 권력강화를 목적으로 조직한 공병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또 그 숫자가 증가한 것은 역시 최씨 정권의 군비강화와 새로운 군사체계의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뜻한다 신의군은 대몽항쟁이 치열하던 시기에 조직된 것으로, 삼별초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조건이기도 했다.

 

최씨 정권이 방대한 사병조직을 보유하고서도 삼별초를 따로 조직한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보다 사병은 최씨 정권을 지탱하는 데는 유익했지만 그 외 공적인 활동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정규군이 유명무실해져 최씨 정권에게는 국가 차원에서 비상시에 대처할 전투편제가 필요했다 그 조직이 삼별초였다. 그러나 삼별초는 외적의 침략을 격퇴하는 전투보다 중앙정부에 저항하는 세력을 진압하고 향촌사회를 지배하는 데 주로 동원되었다.

 

결국 삼별초는 대몽항쟁기에 무인정권이 권력을 유지하고 강도정부의 본토장 악력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무력기반의 중심이었다. 더구나 삼별초는 "권신이 집권하면서 이로써 조아爪牙를 삼아 녹봉을 후하게 하고 혹은 개인적 은혜를 베풀고, 또 죄인의 재산을 빼앗아주기도 했다. 그러므로 권신들이 마음대로 부렸고, 그들은 앞 다투어 힘을 다했다. 김준이 최의를, 임연이 김준을, 송송례가 임유무를 죽이는 데도 모두 그 힘을 빌렸다"라고 했듯이 최씨 정권의 붕괴와 이후의 정권교체에서 가장 중요한 무력수단이 되었다. 이런 점들은 삼별초를 평가할 때 그 군사적 성격과 역할을 분리해서 이해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삼별초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몽항쟁을 빼놓을 수 없다. 몽골의 고려침략은 국가의 운명뿐만 아니라 무인정권의 권력향방에 중요한 변수였고, 삼별초는 대몽항쟁에서 고려 군사력의 바탕이었기 때문이다. 고려와 몽골의 관계는 그 첫 접촉이 이루어지는 고종 5년(1218)부터 삼별초 항쟁이 진압되는 원종 14년(1273)까지 4단계로 나누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1단계는 고종 5년에 거란유종을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몽골군이 고려의 영역인 강동성江東城에 들어왔던 때로부터 고종 18년(1231)의 1차 침입 이전까지, 2단계는 고종 18년의 1차 침입부터 고종 46년(1259)에 대몽강화를 위해 태자가 입조入朝한 시점까지, 3단계는 고종46 년의 대몽강화 이후부터 원종 11년(1270)의 개경환도까지, 4단계는 원종 11년의 삼별초 항쟁 발발시점부터 동왕 14년 진압까지로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적인 대몽전쟁 기간은 전쟁이 발발한 고종 18년부터 고종 45년 최씨 정권이 몰락하고 몽골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여 동왕 46년에 태자가 입조하는 시기까지였다.

 

대몽항쟁기에 일반민들은 중앙정부의 수탈과 새로운 침략자 몽골에 맞서 이중의 항쟁을 벌여야 했다. 그래서 이 시기 민들의 항쟁은 민족사적 혹은 계급사적 시각에서 조명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기도 한다. 그에 비해 최씨 정권의 대몽항쟁은 강화천도에서 알 수 있듯이 장기전을 펼치면서 정권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강화천도는 몽골이 수전水戰에 약하다는 전략적 측면, 강화도의 지리적 이점, 그리고 향촌사회 저항으로부터의 도피 등, 일찍부터 그배경이주목되어왔다. 그러나강화천도가아무리불가피한선택이었다 해도 본토에 대한 아무런 대책 없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정권유지 차원으로평가절하되기도 한다.

 

최씨 정권의 사병은 외적침략이라는 국가의 위기상황에서도 정권유지 외의 목적으로는 거의 동원되지 않았고, 대몽항쟁과 본토장악을 위해 동원된 군사력 은 삼별초였다. 즉 삼별초는 고종 18년 대몽전쟁 발발시점부터 고종 45년 최씨 정권 붕괴까지, 몽골군에 타격을 가하거나 본토의 저항세력을 분쇄하는 선봉대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최씨 정권 몰락 이후 등장한 김준 - 임연 정권은 몽골에 의지하던 원종 및 강화세력과 대립적인 관계에 있었고, 삼별초 역시 무인정권과 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따라서 원종 11년에 무인정권의 몰락과 더불어 단행된 삼별초의 해체는 이들에게 최대위기였다.

 

원종이 전격적으로 삼별초를 혁파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강화도를 완전히 제압하지 못한 상황에서 무인정권의 군사력이었던 삼별초를 해체한다는 것은 실로 모험이었다. 이렇게 무리를 해서라도 삼별초를 전격 해체했던 것은 무인정 권의 기반을 해체하지 않고서는 고려를 완전히 복속할 수 없다는 몽골 및 원종과 강화세력의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이제 삼별초 집단은 몰락이냐 새로운 항쟁이냐 하는 선택의 갈림길에 서게 되었고, 그들은 마침내 중앙정부를 부정하 고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여 다시금 대몽항쟁의 기치를 올렸다 (원종  11년 6월 - 14년 4월 1270-1274).

 

삼별초 집단은 배중손裵仲孫의 지휘 아래 왕족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을 국왕으로 추대하여 새로운 정부를 결성했다. 이들은 대몽항쟁의 중심부였던 강화도를 버리고 진도로 근거지를 옮겨 부근 여러 섬과 해안일대를 세력권 내에 두었다. 삼별초 항쟁이 발발하자 향촌사회에서는 이들을 지지하거나 여기 직접 참여하 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를 근거로 막연히 삼별초 항쟁과 일반민의 항쟁을 연결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무인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자 대민지배의 선봉이었던 삼별초 집단을 향촌사회의 자위적 측면에서 대몽항쟁을 전개했던 세력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는 없었을 것이다. 향촌사회가 삼별초 항쟁에 가담하게 된 것은, 무엇보다 고종 46년 대몽강화 이후 향촌사회를 더욱 피폐하게 만들었던 사회경제적 폐단 때문이었다. 대몽강화 이후 관리들은 피폐해진 국가재정을 보완 유지하기 위한 물자의 부담, 삼별초 항쟁의 진압과 일본정벌을 위한 경비부담, 그리고 대몽강화를 유지하기 위한 국왕과 태자의 친조비용 등을 부담해야 했다. 이런 관리들의 부담은 곧 민에 대한 침탈로 이어졌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향촌사회에 가장 위협적인 것은 몽골의 침탈과 요구사항이었다.

 

결국 삼별초 항쟁은 무인정권의 몰락으로 인한 위기의식과 몽골이라는 대제 국의 비호 아래서 자행된 극심한 수탈로 인한 고려사회의 총체적 모순이 표출된 것이었다 고려 정부와 몽골은 삼별초 항쟁이 일어나자 강력한 진압책으 로 단시일 내에 이를 진압하려 했다 이는 대몽전쟁이 30여 년의 세월을 끌면서 완만하게 진행되었던 것과 대조적이었다. 이는 당시 고려 정국상황이 고려 지배층과 몽골에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향촌사회에서는 삼별초 항쟁에 고무 받아 저항이 확대되고 있었다 고려 정부나 몽골에게는 충격적인 일이었다. 그러나 삼별초 집단은 고려의 중앙정부 와 몽골의 적극적인 진압책으로 인해 진도가 함락되자 김통정金通精의 지휘 아래 제주도에서 마지막 항쟁을 펼치다가 끝내 몰락하고 말았다.

삼별초는 군사적으로 "공병적 사병"이라는 이중적 성향을 지니고 있었다. 최씨 정권에서는 대몽항쟁과 대민지배의 전위부대로서 역할했고, 최씨 정권 몰락 이후에는 정치권력의 향방에 중요한 군사적 기반이 되었다. 그리고 무인정권 몰락에 이은 삼별초의 해체는 이들을 중심으로 한 대몽항쟁이 새롭게 벌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때문에 삼별초의 의의를 평가하는 데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있고, 다양한 견해가 제출되었다.

 

하지만 삼별초의 역할은 거대한 몽골제국에 맞선 고려사회의 역량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되기도 한다. 이는 12 - 13세기 중세적 질서의 변화라는 고려사회 내부 문제, 그리고 몽골이라는 새로운 이민족의 흥기로 인한 대륙질서의 변화와 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따라서 무인정권의 변동과 대몽골관계의 추이에 따라 삼별초의 역할은 달리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현재 삼별초 연구는 정치권력의 유지라는 군사적 측면, 이민족에 대한 저항의 측면, 그리고 고려와 원의 관계설정 등 폭넓은 범위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 점에서 무인정권의 속성, 즉 고려사회의 내부적 측면 혹은 민족과 국가를 앞세운 배타적 측면 등 어느 한쪽이 지나치게 강조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Traduction(s)

Quelle organisation étaient les sambyŏlch’o ?

Texte original

Traduction

12.3세기 고려사회는 대내외적인 어려움에 처해 있었다. 대내적으로 의종 24년 (1170)무인정변 이후 정치적 혼란과 향촌사회의 대대적 저항에 직면했고, 대외적으로는 거란유종契丹遺種-몽골 등 북방세력의 지속적인 침략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집권세력들은 사병을 양성하여 정권을 유지하려 했지만 사병은 사적인 관계 외에는 역할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최씨 정권은 사병과 별도로 삼별초三別抄를 조직했다. 삼별초는 공병-사병적 요소를 동시에 지닌 군사조직 이었고, 대몽항쟁기 고려 군사력의 중심이었다. 삼별초는 원종 11년(1270)국왕에 의해 전격적으로 해체되면서 대대적인 대정부-대몽골항쟁을 펼쳤다.

 

 

La société du Koryŏ des XIIe – XIIIe siècles était confrontée à des difficultés intérieures et extérieures. A l’intérieur, à l’issue de la révolte de l’année mu-in (1170), 24e année du règne d’Ŭijong, le pays était en butte à des troubles politiques et à une forte résistance de la société locale ; à l’extérieur, se succédaient continuellement les invasions commises par les forces des contrées du nord, descendants des Khitan et des Mongols. Dans un tel contexte, les forces dominantes constituèrent des troupes privées avec l’intention de maintenir leur pouvoir politique ; ces troupes privées voyaient leur rôle limité en dehors de leurs attributions militaires. C’est alors que le régime des Ch’oe mit sur pieds les sambyŏlch’o (三別抄 삼별초, litt. « les trois troupes spéciales ») de manière séparée des troupes privées. Les sambyŏlch’o étaient une organisation militaire comportant conjointement des aspects d’armée régulière et privée, et constituaient le cœur des forces armées du Koryŏ engagées dans la période de guerre de résistance contre les Mongols. Suite à leur dissolution foudroyante proclamée par le roi, la 11e année du règne de Wŏnjong (1270), les sambyŏlch’o entrèrent en résistance tous azimuts contre le gouvernement du Koryŏ et les Mongols.

 

삼별초에 대한 평가로는, 우선 1970년대 -1980년대 초반까지 주로 국난극복 이라는 명제 아래 "무신들의 호국전통" 혹은 "반정부-반몽골투쟁을 처절하게 전개한 용맹스런 활동" 등 삼별초의 대외항쟁 측면을 부각시키는 것이 주된 흐름이었다. 이후의 연구에서 삼별초 조직은 무인정권의 권력유지를 위한 무력수단으로 파악되었지만, 이들의 대정부 대몽골항쟁을 12-13세기 민의 항쟁과 연결하여 의의를 파악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삼별초의 항쟁은 어디까지 나 개경환도와 삼별초 혁파에 따른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결코 몽골의 박해가 염려되어 항쟁을 일으킨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견해도 피력되었다. 이런 연구들은 삼별초의 활약을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주지만, 서로 혼재되어 자칫 그 본질을 혼동하게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삼별초 조직의 배경과 역할을 중심으로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Tout d’abord, dans les années 1970 et jusqu’au début des 1980, dans le courant principal de la recherche historique, les sambyŏlch’o , placés sous l’intitulé de « dépassements des troubles nationaux », se démarquaient par leurs aspects de résistance extérieure, comme « tradition de protection du pays des fonctionnaires de l’armée », ou bien comme « activité audacieuse et radicale de lutte contre le gouvernement et contre les Mongols ». Au cours des recherches ultérieures, l’organisation des sambyŏlch’o fut comprise comme un instrument militaire destiné à maintenir le pouvoir du régime des militaires, mais il y eut des tentatives pour les comprendre aussi, dans leur lutte contre le gouvernement et les Mongols, comme liés à la résistance populaire des XIIe et XIIIe siècles. Des voix se firent entendre pour dire ouvertement que la guerre de résistance des sambyŏlch’o procédait, jusqu’à un certain point, du sentiment de crise consécutif à leur dissolution proclamée consécutivement au retour de la cour à Kaegyŏng, et pas du tout par crainte de persécution par les Mongols.

Ces études sont très suggestives quant à l’appréciation positive ou négative de l’activité des sambyŏlch’o, mais la coexistence de ces éléments contrastés, est, pour peu, propre à semer la confusion sur la nature fondamentale de cette activité. Ici, notre propos consiste à en comprendre la signification en centrant notre étude sur le contexte et le rôle de cette organisation.

 

 

Texte original

Traduction

무인정권과 민의 항쟁

 

의종  24년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이의방李義方 등 무신들은 정변을 통해 문신들 을 대거 살육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무인정변은 기존 지배질서를 붕괴시켰으며, 정치-경제-사회-문화 각 분야에서 고려사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 결과 외연상으로는 문신 중심의 문벌귀족사회가 와해되고 무신이 주된 정치세력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집권세력 내부의 알력 때문에 정치권력은 안정되지 못했다.

Régime des militaires et résistance populaire

 

L’an 24 du règne d’Ŭijong (1170), Chŏng Chungbu (鄭仲夫), Yi Ko (李高) et Yi Ŭibang (李義方) et autres fonctionnaires de l’armée, suite à un coup d’état, massacrèrent à grande échelle les fonctionnaires civils et s’emparèrent du pouvoir. Cette révolte provoqua l’effondrement de l’ordre antérieur, et constitua un tournant dans l’histoire du Koryŏ dans tous les domaines : politique, économique, social et culturel. Le résultat, du point de vue des liens sociaux, fut que la société aristocratique des ligues centrée sur les fonctionnaires civils se délita et que les fonctionnaires de l’armée sa manifestèrent comme la principale force politique. Cependant, à cause de dissensions au sein du nouveau régime, le pouvoir politique ne parvint pas à se stabiliser.

 

무인정권은 이고 이의방 정권  -> 정중부 정권 -> 경대승慶大升 정권 -> 이의민李 義旼 정권 -> 최씨 정권 (최충헌崔忠獻 - 최우崔瑀 - 최항 崔沆 - 최의崔竩) ->  김준金俊 정권 -> 임연 林衍 임유무林惟茂 정권으로 이어졌다. 물론 이들 역시 중앙의 권력쟁탈과 향촌사 회 동요에 따른 위기국면을 벗어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을 보여주기도 했다. 명종 18년(1188)의 "개혁교서"와 최충헌의 "봉사 10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잦은 정변으로 인한 정국불안을 해소하고 정치현안의 모순구조를 척결함으로써 정치안정을 이루려는 것이었다. 하지만 국가권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보다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적 지배수단을 확대하던 무인정권의 속성상 그 실현에 한계가 있었다.

Le régime des militaires vit en effet différents pouvoirs se succéder : de celui de Yi Ko, Yi Ŭibang à celui de Chŏng Chungbu, puis à celui de Kyŏng Taesŏng (慶大升), puis à celui de Yi Ŭimin (李義旼), puis le clan des Ch’oe (Ch’oe Ch’unghŏn 崔忠獻, Ch’oe U 崔瑀, Ch’oe Hang 崔沆, Ch’oe Ŭi 崔竩), puis Kim Chun (金俊) et enfin celui de Im Yŏn (林衍) et Im Yumu (林惟茂). Ceux-ci, évidemment, réagirent afin de faire face et de se sortir de situations de crise consécutive aux conflits entre les usurpateurs du pouvoir central et la société locale. Le « Décret de réforme » de l’an 18 de Myŏngjong (1188) et le « Rapport en dix articles » de Ch’oe Ch’unghŏn en sont des exemples représentatifs. Ils constituaient des tentatives de stabilisation politique par la dissipation du mécontentement provoqué par de fréquentes insubordinations ainsi que par l’éradication des contradictions structurelles des problèmes politiques en suspens. Toutefois, la mise en application de ces mesures présentait des limites en raison de la nature même du régime, consistant à étendre les instruments d’une domination privée dont la finalité était de maintenir leur pouvoir plutôt que la stabilité du pouvoir étatique.

 

무인집권기에는 12세기 전반부터 소극적으로 진행되었던 향촌사회의 저항이 전국적 - 대대적인 저항으로 확대되었다. 향촌사회의 저항은 서북면 지역에서시작되어 중 - 남부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이들 저항은 주로 12세기 전반의 사회경제적 모순에서 비롯되었으며, 신분제사회의 모순이 배가되면서 더욱 고조되었다. 이에 중앙정부는 지방관을 확대하여 향촌사회를 강력하게 지배하 려 했고, 향촌사회를 주도하던 재지세력들은 이런 통치질서에 결합 또는 대립이 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대응했다. 더구나 무인정변 이후 집권세력은 사적 지배기 반을 확대함으로써 사회경제적 폐단을 가중시키거나, 향촌사회의 반발을 주로 무력으로 진압하려 했다. 이는 결국 국가권력재지세력민의 지속적인 대립으 로 이어졌다.

Au cours de la période du régime des militaires, la résistance de la société locale développée sans enthousiasme, peu activement et sans entrain à partir de la première moitié du XIIe siècle, s’étendit largement, à l’échelle de tout le pays. La résistance de la société provinciale débuta dans la région du Cercle du Nord-Ouest et s’étendit aux régions du centre et du Sud.

Ces actes de résistance procédaient principalement de contradictions socio- économiques de la première moitié du XIIe siècle, d’autant plus intenses qu’il étaient renforcés par l’ajout de contradictions propres aux systèmes des statuts sociaux. Le gouvernement central chercha alors à augmenter le nombre des fonctionnaires de provinces, afin de contrôler plus fermement la société locale, si bien que les pouvoirs locaux adoptèrent les deux attitudes opposées consistant à s’agréger ou bien à se confronter à l’ordre politique en place. De plus, à partir du coup d’état militaire, l’extension de la base de domination privée des autorités, accentua les difficultés socio-économiques ou conduisit à réprimer principalement par la force les révoltes de la société provinciale. En définitive, une telle situation provoqua des conflits continuels entre le pouvoir étatique, les pouvoirs locaux et la population.

 

향촌사회의 대대적이고 지속적인 저항은 그 분산성과 저급성으로 인해 중세 체제의 모순을 극복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물론 저항 중에는 최씨 집권기의 신라 - 고구려 - 백제 부흥운동처럼 고려사회 혹은 무인정권을 전면부정하는 경우 도 있었다. 그러나 이 역시 지역 중심의 저항세력을 결집시킬 수 있다는 명분에서 는 커다란 효과가 있었지만, 집권세력의 강력한 진압책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La résistance continuelle et de grande ampleur de la société locale présentait des limites pour surpasser les contradictions du système médiéval en raison de son caractère dispersé et de faible niveau d’intensité. Certes, au sein de la résistance, existèrent des cas, comme, sous le régime des Ch’oe, les mouvements de restauration des pays du Silla, du Koguryŏ et du Paekche, de rejet total de la société du Koryŏ ou du régime des militaires. Mais bien que ceux-ci obtinrent des résultats considérables pour la cause de l’unification des forces centrées sur les provinces, ils échouèrent en raison des mesures énergiques de répression de la part des autorités.

 

한편 고종 3년(1216) 거란유종의 침입으로 최씨 정권에 대한 불신감이 노골화 되고 전쟁을 치르는 동안 가혹한 착취현상이 드러나면서, 신종 대(1197-1204) 이후 소극적으로 펼쳐지던 향촌사회의 저항이 재차 촉발되었다. 급기야 고종 18년(1231) 의 몽골침입은 최씨 정권의 유지뿐만 아니라 고려의 운명을 좌우했다. 최씨 정권의 임전태세는 이 시기 향촌사회의 동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Par ailleurs, l’invasion des clans restant des Khitan de l’an 3 de Kojong (1216) révéla ostensiblement le sentiment de défiance des provinces vis-à-vis du régime des Ch’oe, et, pendant que la lutte battait son plein, des exactions terribles se firent jour, si bien qu’à partir du règne de Sinjong (r. 1197-1204), la résistance de la société locale, qui s’était exercée jusqu’alors sans entrain, fut une nouvelle fois ravivée. Finalement, l’invasion mongole de l’an 18 de Kojong (1231), mit en péril, non seulement le maintien du régime des Ch’oe, mais également le destin du Koryŏ tout entier. Cette fois, l’attitude du régime des Ch’oe dans l’engagement dans lutte contre l’envahisseur ne pouvait qu’exercer une influence importante sur les mouvements de la société locale de l’époque.

 

최씨 정권은 몽골과 1차 전쟁을 치른 바로 이듬해에 곧바로 강화천도江華遷都를 단행했다. 전쟁이 일어났을 때 국왕이 피난하는 것은 어느 시기에나 있었던 일이다. 그러나 대외침략을 당하면서 수도를 옮긴 것은 최우 정권의 강화천도가 유일했다. 그들로서는 강화천도가 불가피한 선택이었고, 전술상으로 단기전을 획책하는 몽골의 파상적 공격을 피하기에 유리한 점도 있었다. 하지만 다음과같은 점들을 도외시할 수 없을 것이다.

Le régime des Ch’oe, dès l’année qui suivit le déclenchement de la première guerre contre les Mongols, prit la décision de transférer la capitale à Kanghwa (江華遷都). À toutes les époques, en temps de guerre, le roi partait se réfugier. Mais c’était la première fois que, sous le pouvoir de Ch’oe U, on déplaça la capitale à Kanghwa pour motif d’invasion étrangère. De leur point de vue, le choix du déplacement à Kanghwa était inévitable, et, du point de vue stratégique, il présentait des avantages pour se soustraire aux attaques par vagues des Mongols qui planifiaient des guerres de courte durée. Cependant, il ne faudrait pas sous- estimer les points suivants.

 

우선 1차 대몽전쟁 (고종  18-19, 1231-1232) 패배의 중심에 최우 정권이 있었음 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둘째, 몽골의 승전 이후 요구 중에 고려 국왕의 친조親朝가 있었는데, 이는 국왕을 볼모로 했던 최우 정권으로서는 수용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셋째, 1차 대몽전쟁에서는 초적草賊 같은 저항세력이 중앙정부에 협력하 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후 사회전반적으로 무인정권에 저항하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었다. 이 모두가 최우 정권의 권력유지에 커다란 걸림돌이었고, 그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은 강화천도 같은 응급처방이었다.

Tout d’abord, il faut garder à l’esprit le fait que le régime de Ch’oe U était en place au milieu de la défaite de la première invasion mongole (ans 18 et 19 de Kojong, 1231-1232). Deuxièmement, après la victoire mongole, il aurait été difficile au pouvoir de Ch’oe U d’accepter d’envoyer, cédant ainsi à une des exigences des vainqueurs, le roi du Koryŏ à la cour impériale alors que le souverain était déjà otage du régime. Troisièmement, bien qu’au cours de la première guerre de résistance contre les Mongols, des forces locales de résistance, en charge de fonctions très subalternes, collaborèrent avec le gouvernement central, par la suite, l’ambiance, qui culmina, fut à la résistance de la part de la toute la société provinciale contre le régime des militaires. Devenant des obstacles considérables au maintien du pouvoir de Ch’oe U, la solution pour s’en sortir, était une mesure d’urgence du genre de déplacement de la capitale à Kanghwa.

 

최씨 정권의 대몽항쟁은 강화천도 같은 소극적 저항의 형태였지만, 이와 달리 육지에 남겨진 일반민들은 대정부 - 대몽골 이중의 저항을 벌였다. 특히 강화천도 이전 몽골의 1차 침입에 직면했던 저항세력은 일시적으로 중앙정부와 협력하면서 적극적인 대몽항전을 펼쳤다. 그러나 최씨 정권의 강화천도를 계기로 반정부적 양상은 더욱 고조되었다. 중앙정부와 저항세력의 협력관계가 지속되지 못했던 것은, 이 시기 저항이 12세기 사회모순에 대한 저항의 연장선에 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촌사회의 대몽항쟁은 새로운 수탈자 몽골의 무차별적 침략행위에 대항하는 그들 스스로의 자위적 행위라는 측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La résistance du régime des Ch’oe contre les Mongols avait pris la forme d’une résistance passive comme celle du transfert de la capitale, à la différence de la population restée sur le continent, qui elle, exerçait une résistance double, à la fois contre le gouvernement et  contre  les  envahisseurs.  Certes,  les  forces  résistantes,  confrontées  à la première vague d’invasions mongoles précédant le déplacement de la capitale à Kanghwa, avaient pour un temps collaboré avec les autorités métropolitaines, et déployé une opposition active contre les envahisseurs. Cependant, le transfert de la capitale fut l’occasion pour elles de renforcer leur caractère anti-gouvernemental. L’impossibilité à maintenir une collaboration entre  autorités  centrales  et  forces  de  résistance  provenait  du  fait  qu’à  cette  époque,  la résistance se trouvait dans la continuité de la lutte contre les contradictions sociales du XIIe siècle. Par conséquent, la guerre de résistance de la société locale contre les Mongols procédait d’une attitude d’auto-défense spontanée et indistincte contre des envahisseurs qui constituaient de nouveaux exploiteurs de plus.

 

그런데 고종 40 (1253)년 이후부터 저항세력들이 몽골에 직접 투항하는 현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일반민의 투항은 일차적으로 굶주림이라는 현실적인 처지의 해결, 강도정부江都政府의 가혹한 수탈에 대한 대응, 그리고 새로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욕구 등에서 비롯되었다. 이런 현상은 최씨 정권의 몰락을 재촉했고, 종국에는 몽골과 강화를 맺을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까지 몰고 갔다.

Toutefois, à partir de l’an 40 de Kojong (1253), les forces résistantes commencèrent à livrer bataille directement contre les Mongols. La lutte des gens du commun consistait alors, en premier lieu, à résoudre le problème réel que constituait la famine, à laquelle ils étaient confrontés ; puis à contrecarrer les extorsions terribles exercées de la part des autorités réfugiées dans la capitale de Kanghwa ; enfin, à exiger de mener d’une nouvelle existence. Un tel phénomène accélérait la chute du pouvoir des Ch’oe, et avait conduit, dans le pays conquis, à la situation inévitable où un accord de paix avait été conclue avec les Mongols.

 

고종 46년(1259)의 대몽강화는 형식상으로는 전쟁이 끝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원종과 김준 임연 정권이 대몽관계에서 계속 대립하고 있었던 점에 비추어볼 때, 전국에 걸쳐 대몽항쟁의 기운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또한 몽골세력에 의지한 원종은 무인정권 마지막 집정자였던 임유무를 제거하 여 무인정권을 붕괴시킴과 동시에 삼별초를 전격적으로 해체했다. 이에 삼별초 는 중앙정부를 부정하고 몽골에 정면으로 대항했다. 그에 따라 전국 각 지역에서 삼별초 항쟁에 영향을 받은 저항이 일어났고, 이는 고려 정부와 몽골 조정에 상당한 충격을 주었다.

L’alliance avec les Mongols de l’an 46 de Kojong (1259) peut être compris formellement comme la fin de la guerre. Néanmoins, à la lumière de l’opposition continuelle entre le roi Wŏnjong et le pouvoir de Kim Chun et de Im Yŏn dans la relation avec les Mongols, le feu de la résistance contre les envahisseurs n’avait pas disparu de l’ensemble du territoire. De plus, Wŏnjong, qui s’appuyait sur les forces mongoles, supprima Im Yumu, le dernier détenteur du pouvoir du régime des militaires, si bien que se produisit en même temps l’effondrement du régime militaire et la dissolution foudroyante des sambyŏlch’o. Ces derniers refusèrent l’autorité de gouvernement central et s’engagèrent dans une guerre totale contre les envahisseurs. Il s’en suivit que dans toutes les provinces du pays se leva une résistance influencée par la lutte des sambyŏlch’o, provoquant un immense choc à l’encontre du gouvernement du Koryŏ et de la cour mongole.

 

 
 

Texte original

Traduction

무인정권의 사병과 삼별초

 

무인정권의 권력은 기존 정치질서를 그대로 수용하여 유지된 측면도 있었지만, 공적 질서를 초월한 사적 권력체계에 의지한 면이 더 컸다. 이들 집권세력의 권력기반은 주로 문객門客 - 사병私兵 등 사적 군사조직이었다. 이들에게는 정권에 대한 도전세력을 제압하고 향촌사회의 저항을 불식시켜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공적 지배체제 외에 사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무력이 필요했다. 이런 사적관계는 자신이 의탁한 우두머리에게 충성을 바치고 우두머리가 그들의 출세를 보장해주는 상호보완적 결속관계를 맺고 있었다. 예컨대 무인정 변의 행동대였던 이고가 그들 무리와 은밀히 교제하면서 "대사大事가 이루어지 면 너희들은 모두 높은 관직에 오를 것이다"라고 약속하면서 가짜 임명장을 만들어주었다거나, 경대승이 도방都房을 조직하여 그들과 숙식宿食을 같이하는 등의 성의를 보이며 그들의 불법행위까지 용인해주었던 사실, 그리고 최충헌의 생질 박진재朴晋材가 사병을 양성하면서 "내 문객들은 용감하고 날랬지만 관직을 얻은 자가 적었다"라고 최충헌에게 불평한 사실 등이 그 예가 될 것이다. 물론 이들은 우두머리가 제거되면 곧바로 해체당하거나 상대방에게 흡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Les troupes privées du régime militaire et les sambyŏlch’o

 

Le régime des militaires présentait certes des aspects en continuité avec l’ordre politique précédent, acceptés tel quel, mais encore plus d’aspects liés à un système de pouvoir privé surpassant l’ordre public. La base du pouvoir des détenteurs de la force politique étaient principalement constituées d’organisations militaires privées telles que gardes domestiques (門客) et troupes privées (私兵). Ils avaient besoin d’une force armée mobilisable à titre privé extérieure au système de domination public pour réprimer les forces qui défiaient le pouvoir et parvenir finalement à réaliser leur intérêt en balayant la résistance de la société locale. De telles relations privées reposaient sur des liens de collusion fondée sur un soutien mutuel où, en échange d’une loyauté consentie à l’égard des chefs, ceux-ci garantissaient la promotion de leurs partisans. Ainsi, Yi Ko, qui était la force d’action du régime militaire s’étaient mis secrètement d’accord avec ses troupes, en leur avait fait faire de faux certificat de nomination en trompant les ordres royaux : « si une grande affaire se produit, vous occuperez tous de hautes fonctions » ; ou bien Kyŏng Taesŭng, qui avait monté la Chambre générale tobang (都房), et avaient admis les actes illégaux de la part de ceux auxquels il avait montré sa loyauté en partageant le logement et la nourriture ; en encore Pak Chinjae (朴晋材), le neveu de Ch’oe Ch’unghŏn, qui, en consituant des troupes privées, avait mis mal à l’aise son oncle en lui distant : « mes hommes de main sont courageux et vifs, mais peu d’entre eux ont obtenu des postes », en sont des exemples. Il était évidemment courant que ceux-ci fussent aussitôt destitués si leur chef était éliminé, ou bien fussent absorbés dans les troupes d’un concurrent.

 

4대에 걸쳐 60여 년간 정권을 유지했던 최씨 정권 역시 국가의 공적 지배체제 를 초월하는 사적 권력체제를 확립했다. 최충헌은 교정도감 도방 - 정방 - 서방 등 사적 지배기구를 통해 권력을 강화했다. 아울러 이들은 막강한 사병을 보유하고 있었다. "최충헌이 가병家兵을 사열하는데 좌경리로부터 우경리까지 군사들이 두서너 겹으로 열을 지어 2 - 3리에 뻗쳤으며, 창자루에 은병을 매달아 나라 사람들에게 자랑해 보이며 오는 사람들을 모집했다. 아들 최우의 가병은 선지교로부터 이령을 지나 숭인문까지 이르렀는데 깃발을 세우고 북을 울리면서 전투를 연습했다. 문객 중에서 북방정벌에 종군하기를 청하는 자가 있으면 즉시 먼 섬으로 귀양보냈다"라거나, "날쌔고 용맹스러운 자는 모두 최충헌과 그 아들 최우가 차지했고, 관군은 모두 늙고 약하고 파리한 군졸뿐이었다"라는 등의 사례를 통해서 이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은 사병 외에 삼별초라는 공병적 성격의 군대도 조직했다.

La domination des Ch’oe, qui avaient maintenu leur pouvoir pendant soixante ans au cours de quatre générations successives, avait effectivement établi solidement un système privé de pouvoir surpassant le système de domination public de l’État. Ch’oe Ch’unghŏn avait renforcé son pouvoir  par le  biais d’organes de  contrôle privé : le  conseil provisoire  de Kyojŏng, la Chambre générale, la Chambre de gouvernement chŏngbang (政房), la Chambre de rédaction sŏbang (書房). En outre, ceux-ci possédaient des troupes privées très puissantes. Les citations suivantes l’attestent : « Ch’oe Ch’unghŏn fit aligner ses troupes domestiques en deux ou trois rangs, depuis le kyŏngni de gauche jusqu’au kyŏngni de droite, qui s’étendirent sur deux ou trois li, une bouteille d’argent (monnaie) au fourreau à lance, fierté des hommes du pays, qui firent s’attrouper les promeneurs. Les troupes domestiques de Ch’oe U se rendirent depuis le pont Sŏnji jusqu’à la porte Sungin en passant par l’iryŏng, portant bannières et frappant du tambour, ils s’exercèrent au combat. Parmi les hommes de main, s’il y en avait à suivre les troupes dans la luttes de défense contre les régions du Nord, ils étaient immédiatement bannis dans des îles lointaines » ; ou encore : « les hommes alertes et courageux sont tous du côté de Ch’oe Ch’unghŏn et de son fils Ch’oe U, tandis que les armées régulières ne comptent que des soldats vieux, faibles et émaciés ». Toutefois, en dehors de leurs troupes privées, ils avaient formé des armées ayant le caractère de troupes régulières, appelées sambyŏlch’o.

 

처음에 최우는 나라 안에 도적이 많음을 근심하여 용사들을 모아 매일 밤 순찰하여 횡포를 막게 하고, 이를 야별초夜別抄라 불렀다. 도적이 여러 도에서 일어나자 별초를 나누어 보내 체포하게 했다. 그 군대가 매우 많아 좌 - 우로 나누고, 또 나라 사람들 가운데 몽골에서 도망쳐 돌아온 자들로 일부를 만들어 신의神義라고 불렀다. 이것이 삼별초가 되었다.

« À l’origine, Ch’oe U, préoccupé par le nombre de pillards dans le pays, réunit des soldats courageux et les fit patrouiller toutes les nuits pour stopper les violences ; il les appela yabŏlch’o (夜別抄, litt. « patrouilles de nuit d’élites »). Quand des pillards apparurent dans les provinces, il divisa ses troupes spéciales et les envoya les mettre hors d’état de nuire. Les troupes étaient si nombreuses qu’il les divisa en armée de gauche et de droite ; de plus, il constitua une troupe à partir des hommes du Koryŏ retournés au pays après s’être échappés des mains des Mongols, et les appela sinŭi (神義, « merveilleux justiciers »). Tous ceux-ci devinrent les sambyŏlch’o (« trois troupes spéciales). »

 

이에 의하면, 삼별초의 전신인 야별초는 처음에는 나라 안의 도적을 막기위해 조직되었으며, 향촌사회의 치안을 함께 수행했다. 이는 중앙뿐만 아니라 전국에 걸친 치안유지의 공백상태를 야별초가 대신 감당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도적이란 비단 남의 물건을 훔치는 자만이 아니라 최씨 정권의 정적 혹은 향촌사회의 저항세력을 가리키기도 한다. 야별초는 최씨 정권이 권력강화를 목적으로 조직한 공병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또 그 숫자가 증가한 것은 역시 최씨 정권의 군비강화와 새로운 군사체계의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뜻한다 신의군은 대몽항쟁이 치열하던 시기에 조직된 것으로, 삼별초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조건이기도 했다.

D’après ce passage, les « patrouilles de nuit spéciales » furent la première forme des sambyŏlch’o, qui, au début, furent constituées pour bloquer les pillards dans le pays, et pour maintenir l’ordre dans la société locale.

Ceci montre que, ce n’était plus l’État, mais les yabyŏlch’o qui, à sa place et à travers tout le pays, occupaient l’espace laissé vacant du maintien de l’ordre. Ce qui est ici appelé « pillards », ne désigne pas seulement ceux qui s’emparaient des biens d’autrui, mais également les ennemis politiques du pouvoir des Ch’oe ou bien les forces de résistance de la société locale. Les yabyŏlch’o possédaient les caractéristiques de l’armée régulière formée dans le but de renforcer le pouvoir en place. De plus, l’augmentation de leur nombre signifiait la mise en place d’un renforcement du dispositif militaire du régime des Ch’oe ainsi qu’un réaménagement de l’organisation des armées. L’armée de la Justice divine, instaurée à une période où la guerre de résistance contre les Mongols était acharnée, constitue également une donnée susceptible de saisir le caractère de ce qu’étaient les sambyŏlch’o.

 

최씨 정권이 방대한 사병조직을 보유하고서도 삼별초를 따로 조직한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보다 사병은 최씨 정권을 지탱하는 데는 유익했지만 그 외 공적인 활동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정규군이 유명무실해져 최씨 정권에게는 국가 차원에서 비상시에 대처할 전투편제가 필요했다 그 조직이 삼별초였다. 그러나 삼별초는 외적의 침략을 격퇴하는 전투보다 중앙정부에 저항하는 세력을 진압하고 향촌사회를 지배하는 데 주로 동원되었다.

Si le pouvoir des Ch’oe disposait d’une immense organisation militaire, pour quelle raison forma-t-il les sambyŏlch’o séparément ? Si les troupes privées étaient sans doute utiles à maintenir le pouvoir en place, elles présentaient surtout des limites pour le reste, à savoir les activités à caractère public. De plus, du point de vue de l’État, le pouvoir des Ch’oe avaient besoin d’un dispositif de lutte pour faire face à des situations imprévues alors que les armées régulières existantes n’avaient plus de régulier que le nom. Ce dispositif était les sambyŏlch’o. Mais ces derniers étaient principalement mobilisés pour réprimer les forces anti- gouvernementales ainsi que pour contrôler la société locale, plutôt que pour lutter à repousser les invasions étrangères.

 

결국 삼별초는 대몽항쟁기에 무인정권이 권력을 유지하고 강도정부의 본토장 악력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무력기반의 중심이었다. 더구나 삼별초는 "권신이 집권하면서 이로써 조아爪牙를 삼아 녹봉을 후하게 하고 혹은 개인적 은혜를 베풀고, 또 죄인의 재산을 빼앗아주기도 했다. 그러므로 권신들이 마음대로 부렸고, 그들은 앞 다투어 힘을 다했다. 김준이 최의를, 임연이 김준을, 송송례가 임유무를 죽이는 데도 모두 그 힘을 빌렸다"라고 했듯이 최씨 정권의 붕괴와 이후의 정권교체에서 가장 중요한 무력수단이 되었다. 이런 점들은 삼별초를 평가할 때 그 군사적 성격과 역할을 분리해서 이해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En fin de compte, les sambyŏlch’o, en maintenant le pouvoir du régime militaire pendant la période de lutte anti-mongole, constituaient le cœur de la base militaire nécessaire au renforcement de la mainmise du gouvernement de la capitale de Kanghwa sur le territoire. Comme le dit le passage suivant, ils devinrent l’instrument armé le plus important au cours de la transition entre l’effondrement du régime des Ch’oe et celui des régimes ultérieurs : « en s’emparant du pouvoir, les ministres puissants les utilisaient comme griffes et dents, leur accordant des émoluments généreux ou bien en leur dispensant des bienfaits individuellement ; de plus, ils s’emparaient des biens des criminels. Par conséquent, les puissants ministres faisaient appel à leur service à leur gré, et ces derniers luttaient pour eux de toutes leurs forces. Ils furent ainsi également appelés par Kim Chun, Im Yŏn et Song Songnae  pour  tuer  successivement  Ch’oe  Ŭi,  Kim  Chun  et  Im  Yumu.  »  De  tels  faits constituent la raison pour laquelle, quand on évalue l’action des sambyŏlch’o, il convient, pour les comprendre, de séparer leur caractère militaire de leur fonction réelle.

 

 

Texte original

Traduction

대몽항쟁과 삼별초

 

삼별초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몽항쟁을 빼놓을 수 없다. 몽골의 고려침략은 국가의 운명뿐만 아니라 무인정권의 권력향방에 중요한 변수였고, 삼별초는 대몽항쟁에서 고려 군사력의 바탕이었기 때문이다. 고려와 몽골의 관계는 그 첫 접촉이 이루어지는 고종 5년(1218)부터 삼별초 항쟁이 진압되는 원종 14년(1273)까지 4단계로 나누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Les sambyŏlch’o et la guerre de résistance contre les Mongols

 

Pour comprendre les sambyŏlch’o, on ne peut laisser de côté la résistance anti- mongole. L’invasion des Mongols constituait une variable importante, non seulement du destin de l’État, mais aussi de l’orientation du pouvoir du régime des militaires, parce que les sambyŏlch'o représentaient la base de la force armée du Koryŏ dans la guerre de résistance. Il est nécessaire de comprendre les relations entre le Koryŏ et les Mongols en les périodisant en quatre étapes, depuis l’an 5 de Kojong (1218) où eut lieu le premier contact, et l’an 14 de Wŏnjong où les résistance des sambyŏlch’o fut anéantie.

 

1단계는 고종 5년에 거란유종을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몽골군이 고려의 영역인 강동성江東城에 들어왔던 때로부터 고종 18년(1231)의 1차 침입 이전까지, 2단계는 고종 18년의 1차 침입부터 고종 46년(1259)에 대몽강화를 위해 태자가 입조入朝한 시점까지, 3단계는 고종46 년의 대몽강화 이후부터 원종 11년(1270)의 개경환도까지, 4단계는 원종 11년의 삼별초 항쟁 발발시점부터 동왕 14년 진압까지로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적인 대몽전쟁 기간은 전쟁이 발발한 고종 18년부터 고종 45년 최씨 정권이 몰락하고 몽골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여 동왕 46년에 태자가 입조하는 시기까지였다.

Il est possible de distinguer ces périodes de la manière suivante :

 

  • ŏng, territoire du Koryŏ, sous le prétexte de réprimer les clans Khitan, jusqu’avant l’an 18 de Wŏnjong, année de la première vague d’invasion ;
  • ŏng, l’an 11 de Wŏnjong ;
  • sambyŏlch’o jusqu’à la répression de l’an 14 du même règne. Comme on le voit ici, la durée réelle de la guerre de résistance contre les Mongols (1218-1270), débute avec l’éclatement du conflit de l’an 18 de Kojong et prend fin avec l’effondrement du régime des Ch’oe de l’an 45 et de l’acceptation de l’exigence des envahisseurs d’envoyer le prince héritier à la cour impériale de l’an 46.

 

대몽항쟁기에 일반민들은 중앙정부의 수탈과 새로운 침략자 몽골에 맞서 이중의 항쟁을 벌여야 했다. 그래서 이 시기 민들의 항쟁은 민족사적 혹은 계급사적 시각에서 조명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기도 한다. 그에 비해 최씨 정권의 대몽항쟁은 강화천도에서 알 수 있듯이 장기전을 펼치면서 정권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강화천도는 몽골이 수전水戰에 약하다는 전략적 측면, 강화도의 지리적 이점, 그리고 향촌사회 저항으로부터의 도피 등, 일찍부터 그배경이주목되어왔다. 그러나강화천도가아무리불가피한선택이었다 해도 본토에 대한 아무런 대책 없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정권유지 차원으로평가절하되기도 한다.

Au cours de la période de résistance anti-mongole, la population ordinaire dut déployer une double résistance, faisant face aux exactions du gouvernement central et aux nouveaux envahisseurs. Aussi, se sont faites jour des opinions selon lesquelles il convenait d’éclairer la résistance populaire de cette période à la lumière de l’histoire nationale ou bien du point de vue de l’histoire des classes. D’un autre côté, la résistance anti-mongole des Ch’oe maintenait leur régime en déployant une guerre de longue durée comme le montre le transfert de la capitale à Kanghwa. Le contexte de ce transfert a été analysé depuis longtemps de différents points de vue tels que le point de vue stratégique, en raison de la faiblesse des Mongols sur le plan de la guerre maritime ; du point de vue de la situation géographique favorable de l’île de Kanghwa ; et encore du point de vue que représentait le fait pour le régime de se soustraire à la résistance de la société locale. Cependant, une fois présenté comme inévitable le choix du transfert, il convient aussi de revoir à la baisse la valeur de l’explication que constitue le maintien du régime quand on considère le fait qu’il se fit sans la moindre mesure relative au territoire.

 

최씨 정권의 사병은 외적침략이라는 국가의 위기상황에서도 정권유지 외의 목적으로는 거의 동원되지 않았고, 대몽항쟁과 본토장악을 위해 동원된 군사력 은 삼별초였다. 즉 삼별초는 고종 18년 대몽전쟁 발발시점부터 고종 45년 최씨 정권 붕괴까지, 몽골군에 타격을 가하거나 본토의 저항세력을 분쇄하는 선봉대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최씨 정권 몰락 이후 등장한 김준 - 임연 정권은 몽골에 의지하던 원종 및 강화세력과 대립적인 관계에 있었고, 삼별초 역시 무인정권과 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따라서 원종 11년에 무인정권의 몰락과 더불어 단행된 삼별초의 해체는 이들에게 최대위기였다.

Les armées privées du pouvoir des Ch’oe ne furent pratiquement pas mobilisées en dehors de l’objectif du maintien du régime, comme dans le contexte de crise étatique que constituait l’invasion étrangère, mais la forme militaire mobilisée pour la résistance anti- mongole et le contrôle du territoire fut celle des sambyŏlch’o. Ces derniers furent ainsi en première ligne de la lutte, depuis l’an 18 de Kojong où éclata la guerre de résistance, jusqu’à l’effondrement des Ch’oe l’an 45 de Kojong, accentuant la pression contre les Mongols ou bien en écrasant les forces de résistance au sein du territoire. Toutefois, le pouvoir de Kim Chun et d’Im Yŏn, qui fit son apparition après l’effondrement du régime des Ch’oe, se trouva pris dans des relations d’opposition avec Wŏnjong, soutenu par les Mongols, ainsi qu’avec les forces en faveur de l’accord de paix avec les envahisseurs, si bien que les sambyŏlch’o nouèrent des liens encore plus étroits avec le régime des militaires. Par conséquent, leur dissolution décidée consécutivement à l’effondrement du régime militaire l’an 11 de Wŏnjong, constitua pour eux une crise aigüe.

 

원종이 전격적으로 삼별초를 혁파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강화도를 완전히 제압하지 못한 상황에서 무인정권의 군사력이었던 삼별초를 해체한다는 것은 실로 모험이었다. 이렇게 무리를 해서라도 삼별초를 전격 해체했던 것은 무인정 권의 기반을 해체하지 않고서는 고려를 완전히 복속할 수 없다는 몽골 및 원종과 강화세력의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이제 삼별초 집단은 몰락이냐 새로운 항쟁이냐 하는 선택의 갈림길에 서게 되었고, 그들은 마침내 중앙정부를 부정하 고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여 다시금 대몽항쟁의 기치를 올렸다 (원종  11년 6월 - 14년 4월 1270-1274).

Pour quelle raison Wŏnjong supprima-t-il entièrement les sambyŏlch’o ? Dans la situation où l’île de Kanghwa n’était pas entièrement sous contrôle, dissoudre les sambyŏlch’o, qui était la force militaire du régime des militaires, était aventureux. En dépit d’une telle incohérence, dissoudre entièrement les sambyŏlch’o relevait de la volonté des Mongols, de Wŏnjong et des forces favorables à la conclusion de la paix, pensant qu’il ne serait pas possible de soumettre entièrement le Koryŏ sans supprimer la base du pouvoir des militaires. Le groupe des sambyŏlch’o se trouva alors à la croisée des chemins, devant choisir entre leur dispariton ou bien l’engagement dans une nouvelle guerre de résistance ; finalement, rejetant le gouvernement central, ils formèrent un nouveau gouvernement et relevèrent le drapeau de la résistance anti-mongole (de la 6e lune de l’an 11 de Wŏnjong à la 4e lune de l’an 14, 1270-1273).

 

삼별초 집단은 배중손裵仲孫의 지휘 아래 왕족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을 국왕으로 추대하여 새로운 정부를 결성했다. 이들은 대몽항쟁의 중심부였던 강화도를 버리고 진도로 근거지를 옮겨 부근 여러 섬과 해안일대를 세력권 내에 두었다. 삼별초 항쟁이 발발하자 향촌사회에서는 이들을 지지하거나 여기 직접 참여하 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를 근거로 막연히 삼별초 항쟁과 일반민의 항쟁을 연결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무인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자 대민지배의 선봉이었던 삼별초 집단을 향촌사회의 자위적 측면에서 대몽항쟁을 전개했던 세력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는 없었을 것이다. 향촌사회가 삼별초 항쟁에 가담하게 된 것은, 무엇보다 고종 46년 대몽강화 이후 향촌사회를 더욱 피폐하게 만들었던 사회경제적 폐단 때문이었다. 대몽강화 이후 관리들은 피폐해진 국가재정을 보완 유지하기 위한 물자의 부담, 삼별초 항쟁의 진압과 일본정벌을 위한 경비부담, 그리고 대몽강화를 유지하기 위한 국왕과 태자의 친조비용 등을 부담해야 했다. 이런 관리들의 부담은 곧 민에 대한 침탈로 이어졌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향촌사회에 가장 위협적인 것은 몽골의 침탈과 요구사항이었다.

Sous la direction de Pae Chungson (裵仲孫), l’organisation des sambyŏlch’o, promut un nouveau souverain en la personne de Wang On (王溫), Marquis de Sŭnghwa (承化侯) issu de la famille royale, et constitua un nouveau gouvernement. Abandonnant l’île de Kanghwa, cœur de la résistance anti-mongole, ils déplacèrent leur base dans l’île de Chindo (珍島) et, ils placèrent sous leur contrôle les îles des alentours et une partie de la côte maritime. Sitôt la résistance des sambyŏlch’o déclenchée, dans la société locale apparurent fréquemment des forces qui, ou bien les soutinrent, ou bien y participèrent directement. Au sein d’une pareille atmosphère, il serait toutefois irraisonnable de lier approximativement la résistance des sambyŏlch’o à celle de la population ordinaire. En effet, du point de vue de l’auto-défense des la société locale, il aurait été impossible pour les forces engagées dans la résistance anti- mongole d’accepter facilement l’organisation des sambyŏlch’o, qui était à la fois la base armée du régime des militaires et la première ligne de contrôle de la population.

 

Si la société locale en vint à participer à la lutte des sambyŏlch’o , ce fut avant tout à cause des disfonctionnements socio-économiques qui l’affaiblirent encore davantage après la conclusion de la paix avec les Mongols en l’an 46 de Kojong. Après l’accord de paix, les fonctionnaires (ou les fonctionnaires et les clercs) durent prendre en charge les biens pour compléter et maintenir les finances de l’État, qui s’épuisaient, les dépenses pour la répression de la résistance des sambyŏlch’o ainsi que pour les expéditions punitives contre le Japon, ainsi que les frais du souverain et ceux du séjour du prince héritier à la cour impériale afin de maintenir l’accord de paix, etc. Une telle prise en charge administrative était suivie immédiatement par l’extorsion du peuple. Qui plus est, ce qui menaçait le plus dans la société locale étaient les extorsions des Mongols et leurs exigences.

 

결국 삼별초 항쟁은 무인정권의 몰락으로 인한 위기의식과 몽골이라는 대제 국의 비호 아래서 자행된 극심한 수탈로 인한 고려사회의 총체적 모순이 표출된 것이었다 고려 정부와 몽골은 삼별초 항쟁이 일어나자 강력한 진압책으 로 단시일 내에 이를 진압하려 했다 이는 대몽전쟁이 30여 년의 세월을 끌면서 완만하게 진행되었던 것과 대조적이었다. 이는 당시 고려 정국상황이 고려 지배층과 몽골에 유리하게 전개되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Au bout du compte, la résistance des sambyŏlch’o fut l’expression des contradictions globales de la société du Koryŏ au prise avec un sentiment de crise causé par la chute du régime des militaires ainsi qu’avec l’usurpation extrême exercée sous la soi-disant protection impériale appelée celle des Mongols. Dès que les sambyŏlch’o firent volte-face, Le gouvernement du Koryŏ et les Mongols cherchèrent à les réprimer à court terme par d’énergiques mesures de répression. Une telle attitude est contrastée comparativement aux trente ans longuement écoulés que dura la guerre contre les envahisseurs mongols. Ceci s’explique parce que la situation d’alors ne se déroulait pas favorablement pour la classe dirigeante du Koryŏ et les Mongols.

 

향촌사회에서는 삼별초 항쟁에 고무 받아 저항이 확대되고 있었다 고려 정부나 몽골에게는 충격적인 일이었다. 그러나 삼별초 집단은 고려의 중앙정부 와 몽골의 적극적인 진압책으로 인해 진도가 함락되자 김통정金通精의 지휘 아래 제주도에서 마지막 항쟁을 펼치다가 끝내 몰락하고 말았다.

Dans  la  société  locale,  la  résistance  s’étendit,  stimulée  par  la résistance  des sambyŏlch’o. Pour les autorités du Koryŏ ainsi que pour les Mongoles, ce fut un choc. Cependant, l’organisation des sambyŏlch’o finit par s’effondrer après que s’engagea dans l’île de Cheju la dernière bataille, sous la direction de Kim T’ongjŏng, après la défaite subie à l’île de Chin consécutivement à une répression radicale de la part du gouvernement et des Mongols.

 

 

Texte original

Traduction

맺음말

 

삼별초는 군사적으로 공병적 사병 이라는 이중적 성향을 지니고 있었다 최씨 정권에서는 대몽항쟁과 대민지배의 전위부대로서 역할했고 최씨 정권 몰락 이후에는 정치권력의 향방에 중요한 군사적 기반이 되었다 그리고 무인정권 몰락에 이은 삼별초의 해체는 이들을 중심으로 한 대몽항쟁이 새롭게 벌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때문에 삼별초의 의의를 평가하는 데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있고 다양한 견해가 제출되었다

하지만 삼별초의 역할은 거대한 몽골제국에 맞선 고려사회의 역량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되기도 한다 이는 12.3세기 중세적 질서의 변화라는 고려사회 내부 문제 그리고 몽골이라는 새로운 이민족의 흥기로 인한 대륙질서의 변화와 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따라서 무인정권의 변동과 대몽골관계의 추이에 따라 삼별초의 역할은 달리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현재 삼별초 연구는 정치권력의 유지라는 군사적 측면 이민족에 대한 저항의 측면 그리고 고려와 원의 관계설정 등 폭넓은 범위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 점에서 무인정권의 속성 즉 고려사회의 내부적 측면 혹은 민족과 국가를 앞세운 배타적 측면 등 어느 한쪽이 지나치게 강조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onclusion

 

Les sambyŏlch’o avaient un caractère double du point de vue militaire, en tant que « troupe privées au service de l’État » (公兵的 私兵). Pour le pouvoir du clan des Ch’oe, ils jouèrent le rôle de brigades d’intervention dédiée à la lutte contre les envahisseurs mongols et pour le contrôle de la population ; puis, après la chute du régime des Ch’oe, ils constituèrent une importante base militaire au service des orientations du pouvoir politique. Ensuite, leur dissolution, consécutive à l’effondrement du régime des militaires, fut l’occasion d’un engagement nouveau dans la guerre de résistance contre les envahisseurs, dont ils constituaient le cœur. C’est pour cette raison que pour évaluer le sens de leur existence, des points problématiques se firent jour, et des opinions diverses s’exprimèrent.

Quoi qu’il en soit, le rôle des sambyŏlch’o constitue également un indice susceptible de comprendre la capacité de la société du Koryŏ à s’opposer à l’immense empire mongol. Ce fait est étroitement lié au changement de l’ordre médiéval des XIIe et XIIIe siècles que constitue les problèmes internes de la société du Koryŏ, ainsi qu’avec le changement de l’ordre continental causé par l’essor nouveau d’un peuple étranger appelé « Mongols ». Par

conséquent, le rôle des sambyŏlch’o ne peut qu’apparaître différent selon que l’on considère les mouvements du régime des militaires ou les tendances à entrer en relation avec les Mongols.

Actuellement, la recherche menée sur les sambyŏlch’o présente une tendance à un élargissement remarquable des domaines considérés, tels que les aspects militaires de soutien au régime des militaires, la résistance contre les envahisseurs étrangers ou encore la mise en place des relations du Koryŏ avec les Yuan. De ce point de vue, il ne convient pas d’insister outre mesure tantôt sur l’aspect intérieur à la société du Koryŏ, la nature du régime des militaires, tantôt sur les aspects exclusifs mettant en avant la nation et l’État.

 

 
 

Autour du texte:

L’Histoire de Corée vue à travers ses controverses Vol.I « Période pré-moderne » (p. 201-211)

 

Quelle organisation étaient les sambyŏlch’o par Sin Ansik, chercheur en charge du Centre de recherche de l’unification des cultures plurielles de l’université féminine de Sungmyŏng. Spécialiste de l’histoire de l’époque du Koryŏ, il est notamment l’auteur de « Société locale et régime des militaires du Koryŏ ».

Academy of Korean studies Inalco Université Paris Diderot-Paris 7 EHESS